"부인암 표적치료 예측 가능…'맞춤치료' 기대"

삼성서울병원-아주대의대, 맞춤치료 예측인자 규명

 난소암, 자궁경부암 등 부인암에서도 표적치료제를 활용해 맞춤치료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삼성서울병원(산부인과 이정원 교수, 신경외과 남도현 교수)·아주대의대(이진구 교수) 공동 연구팀은 부인암 환자 유래 세포를 이용한 약물-유전체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치료 예측 인자를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표적치료제는 특정 유전자를 가진 암 환자에게만 치료 효과를 내는 차세대 항암제지만, 부인암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았다.

 부인암의 경우 표적치료제가 어떤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지 미리 가려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부인암 관련 유전체의 구조가 워낙 복잡한 데다 암이 약물을 피해 살아남는 경로 또한 변화무쌍한 탓이다.

 이에 연구팀은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등 부인암 환자에서 떼어낸 암 조직 139개를 토대로 환자유래세포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뒤 유전체 분석과 동시에 약물 반응성을 조사했다. 또 환자유래세포를 37개 분자표적 약물을 이용해 효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종양억제유전자로 알려진 P53 유전자의 변이 여부가 최근 나온 표적항암제인 'PARP 억제제'의 치료 반응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P53변이가 있는 경우 현재 연구 중인 후보 약물 대부분에 높은 저항성을 보였지만, PARP 억제제에서는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그만큼 암이 PARP 억제제에 선택적으로 잘 반응한다는 의미다.

 또 추가 연구에서 PARP 억제제가 난소암 환자 모두에서 효과적이지는 않는다는 점도 밝혀졌다. 여기에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와 관련 있는 ID2 단백질이 약제 내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PARP 억제제를 사용한 난소암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ID2 단백질의 발현 여부에 따른 치료 효과를 비교했더니, 음성인 경우 치료 기간이 8.73개월로 양성인 경우의 4.03개월보다 두 배 더 길었다.

 이정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부인암 치료에 새로운 진전을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맞춤치료를 위해서는 유전체 분석과 약물 스크리닝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유전체 생물학'(Genome Bi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세브란스병원, 폐암 환자에게도 중입자 치료 시작
세브란스병원이 폐암 환자에게도 암세포를 정밀 타격하는 중입자 치료를 시작했다. 25일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연세암병원은 폐암 초기 환자인 김모(65)씨를 대상으로 회전형 중입자 치료기를 활용한 치료를 개시했다. 치료는 이날부터 일주일 동안 총 4회 진행된다.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이온을 거대한 입자 가속기에 주입해 암세포를 정밀 조준 타격함으로써 사멸시키는 최첨단 대형 치료 장비다. 정상 세포는 피하면서 암세포에만 고선량 방사선을 집중할 수 있어 치료의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 효과는 높일 수 있다. 정확도가 높은 편이어서 치료 기간도 대폭 단축된다. 국내에서는 연세암병원이 유일하게 고정형 중입자 치료기 1대와 회전형 중입자 치료기 2대를 도입해 가동 중이다. 고정된 각도에서 고선량 방사선을 조사(照射)하는 고정형 치료기는 주로 전립선암에, 누워있는 환자 주위를 360도 돌아가는 회전형 치료기는 주변에 다른 장기가 있어 다양한 각도로 방사선을 조사해야 하는 췌장암, 간암, 폐암 등에 쓴다. 연세암병원은 그동안 전립선암 환자 위주로 중입자 치료를 해오다 최근 췌장암, 간암에 이어 이번에는 폐암까지 확대했다. 하반기에는 두경부암에도 중입자 치료를 적용할 계획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건강기능식품, 중고 플랫홈 거래 허용'…당근 "인증 없으면 자동삭제"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한 개인 간 건강기능식품(건기식) 거래가 허용되면서 시범사업에 나선 거래 플랫폼들이 부적합 게시물 차단에 나섰다. 25일 ICT(정보통신기술)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당근마켓은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서 건강기능식품을 나타내는 문구나 마크가 없는 사진이 올라올 경우 자동으로 삭제하고 게시자에게 관련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새 시스템에는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 판독을 위한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이 활용됐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건강기능식품 기준에 맞지 않는 게시물을 막기 위한 기술을 계속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당근마켓은 지난 18일 공지사항을 통해 이용자에게 "의약품 중고 거래 및 나눔은 불법"이라고 재차 안내했다. 약국,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의약품은 약사법에 따라 중고 거래가 금지되는 데 건강기능식품 거래 허용으로 인해 헷갈리는 이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서다. 번개장터는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은 게시물이 적발될 경우 순차적으로 제재 강도를 높이는 방식을 채택했다. 1차 위반 시 경고 조치 후 상품 삭제, 2차 위반은 3일 판매 제한, 3차 위반은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