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X선 영상 판독, AI가 전문의보다 더 정확"

  유방암 검사를 위해 촬영된 유방 X선 영상(mammogram) 판독은 AI(인공지능)가 영상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유방영상실장 콘스탄스 레먼 박사 연구팀이 미국과 영국에서 진행한 테스트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1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먼저 유방암 여부 진단이 이미 내려진 미국 여성 약 1만5천명과 영국 여성 약 7만5천명의 최초 유방 X선 영상을 이용, 유방암 판별법을 컴퓨터에 훈련시켰다.

 이어 또 다른 미국 여성 3천명과 영국 여성 2만5천명의 유방 X선 영상을 이용, AI 컴퓨터와 영상의학 전문의 판독 결과를 비교했다.

 이 유방 X선 영상들은 과거에 찍어 이미 최종 진단이 내려진 것이었다.

 미국 여성의 경우 암을 놓치고 '정상'으로 판독된 '허위 음성'(false negative) 비율이 AI가 영상의학 전문의들보다 9.4% 적었다.

 암이 없는데 '비정상'으로 판독된 '허위 양성'(false positive) 비율 역시 AI가 영상의학 전문의들보다 5.7% 적었다.

 영국 여성의 경우도 AI의 판독이 영상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했다.

 '허위 음성' 비율은 AI가 영상의학 전문의들보다 2.7%, '허위 양성' 비율은 1.2%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다른 500건의 유방 X선 영상을 놓고 AI와 영상의학 전문의 6명이 판독하는 또 하나의 테스트를 진행했다.

 AI가 사람보다 우수하기는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만 영상의학 전문의 6명이 잡아낸 유방암을 AI가 놓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차이는 컴퓨터는 하루 종일 유방 X선 영상 판독 작업을 해도 사람과 달리 지치거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집중력이 떨어지지도 않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미국 암학회(ACS: American Cancer Society)에 따르면 매년 미국에서 행해지는 유방 X선 촬영은 약 3천300만건으로 약 20%에서 유방암을 놓치고 있다고 한다.

 특히 '허위 양성'이 적지 않아 재검사하거나 심지어는 유방 조직 샘플을 떼어내 검사하는 조직생검(biopsy)을 하기도 한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서울아산청라병원 내달 착공 신고 마무리…기반시설도 조성
인천 청라의료복합타운의 핵심 사업인 서울아산청라병원을 건립하기 위한 행정 절차가 조만간 마무리된다. 27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청라의료복합타운 사업자 청라메디폴리스PFV는 다음 달 안으로 서울아산청라병원 착공 신고 절차를 완료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청은 그동안 청라의료복합타운의 핵심 시설인 병원 건립 공사를 가장 먼저 시작해 사업 동력을 확보하는 것에 주력했다. 이에 맞춰 사업자 측은 지난해 말 병원 건축허가를 받은 뒤 감리·도급 계약 등을 추진하며 본격적인 공사에 시동을 걸고 있다. 서울아산청라병원은 2029년 개원을 목표로 서구 청라동 9만7천459㎡ 터에 지하 2층, 지상 19층, 800병상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병원에는 국내외 중증 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최첨단 암센터와 함께 심장·소화기·척추·관절 센터 등이 들어선다. 인천경제청은 병원 착공 시기에 맞춰 청라의료복합타운 남쪽 도로를 개설하고 북쪽 도로를 정비하는 사업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청라의료복합타운을 구성하는 교육·연구·숙박 등 복합시설들도 2029년까지 순차적으로 조성된다. 창업 교육시설 '라이프사이언스파크'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소,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병원(MGH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