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적한 인공 혈전으로 혈액 속 세균 흡착해 감염 치료"

UNIST, 항생제 없이도 세균 제거하는 체외 혈액 정화장치 개발

 끈적한 인공 혈전에 혈액 속 세균을 달라붙게 해 제거하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강주헌 교수팀은 인공 혈전을 이용한 체외 세균 정화 장치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튜브를 따라 흐르는 혈액 속 세균이 나선형 구조체 안쪽에 들어 있는 끈적끈적한 인공 혈전에 달라붙게 된다.

 연구진은 이 장치를 이용해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등 그람 양성균·음성균과 항생제 내성균, 사람 분변 유래 세균까지 90% 이상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또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쥐를 대상으로 한 전임상 실험에서는 3시간의 체외 순환 치료만으로 혈중 세균 수와 염증 수치가 현저히 감소했고, 간과 비장 등 주요 장기 내 침투 균도 크게 줄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정화 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이 7일 이내 모두 죽은 것과 달리 치료를 한 번 받은 경우 약 33%, 이틀 연속으로 받은 경우 100%의 생존율을 기록했다.

연구진 모습

강주헌 교수는 "이번 기술은 항생제를 쓰지 않고도 다양한 병원성 세균을 직접 제거할 수 있어 균혈증, 패혈증과 같은 감염 치료의 접근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26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nvanced Science) 온라인판에 공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