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 질환 있으면 신부전 위험↑"

 심부전, 심방세동,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질환이 있으면 신장 기능이 손상되는 신부전(kidney failure)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보건대학원의 마쓰시타 쿠니히로 심혈관·임상역학 교수 연구팀이 성인 9천47명을 대상으로 17.5년에 걸쳐 진행한 추적 조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와 헬스데이 뉴스가 9일 보도했다.

 연구 시작 때 이들은 한 명도 심뇌혈관 질환이나 신장 질환이 없었다.

 그러나 연구 기간에 1천269명이 심부전, 1천337명이 심방세동, 696명이 관상동맥 질환, 559명이 뇌졸중, 210명이 신부전 진단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심뇌혈관 질환 환자는 신부전이 발생할 위험이 심뇌혈관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부전 환자는 신부전 위험이 11.4배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 관상동맥 질환, 심방세동, 뇌졸중 순으로 위험이 높았다.

 이는 심뇌혈관 질환이 신부전의 강력한 위험요인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따라서 심뇌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의사는 신장에 독성을 미칠 수 있는 치료를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한편 환자의 신장기능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관상동맥 질환이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각종 심장질환을 일컫는 말이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이따금 매우 빠른 속도로 수축, 마치 그릇에 담긴 젤라틴처럼 가늘게 떠는 상태가 되면서 심박수가 급상승하는 현상이다. 당장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일이 잦을수록 뇌경색 위험이 커진다.

 심부전은 심장의 좌심방에서 혈액을 받아 이를 전신에 펌프질해 내보내는 좌심실 기능에 이상이 생겨 체내의 모든 기관과 조직에 대한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신장학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최신호(1월 9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홍역 원인은 영양실조, 백신은 자폐증 유발?…전문가들 "근거無"
홍역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홍역의 원인은 영양실조'라거나 '홍역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며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전역의 홍역 환자는 약 33만명으로, 2022년(약 17만명)과 2023년(약 32만명)에 비해 늘었다. 미국에서도 10여년 만에 최대 규모의 홍역 유행이 일어 200명가량이 감염되고 텍사스·뉴멕시코주에서 2명이 숨졌다. 이런 와중 '백신 음모론자'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 장관은 "텍사스 서부 지역은 일종의 '식품 사막'(신선한 음식을 구매하기 어렵거나 비싼 지역)이다. 텍사스 홍역 유행은 영양실조 탓"이라면서 백신의 위험성이 과소평가됐다는 소신도 피력했다. 그는 과거에도 홍역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식의, 의학적 근거가 미약한 주장을 펼쳐왔다. 국내 전문가들은 이 같은 주장엔 근거가 없다고 지적한다. 은병욱 노원을지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홍역의 정확한 원인은 홍역 바이러스로, 영양 섭취가 충분해도 감염될 수 있으며 영양실조가 상태 악화 가능성을 높일 수는 있겠지만 건강한 사람도 얼마든지 감염 후 중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