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 방광, 행동 치료가 약보다 효과 훨씬 크다"

 과민성 방광은 행동 치료가 약보다 효과가 훨씬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과민성 방광이란 방광 기능이 너무 예민해 방광에서 소변을 저장하는 동안에도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방광 근육이 수축, 급하게 요의를 느껴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이 누출되는 증상을 말한다.

 미국 버밍햄 재향군인 메디컬센터의 캐스린 버기오 행동심리학 교수 연구팀이 전립선 비대와 무관한 과민성 방광 남성 2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4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3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약물치료 ▲행동 치료 ▲약물-행동 병행치료를 6주 동안 시행하고 결과를 비교했다.

 과민성 방광 증상 완화 효과는 약물-행동 병행치료 그룹이 31%로 가장 컸고 행동 치료 25%, 약물치료 13% 순으로 나타났다.

 약물-행동 병행치료 그룹은 약물치료 그룹보다는 소변 빈도가 상당히 줄었으나 행동 치료 그룹보다는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이 실험이 끝난 후 연구팀은 3그룹 모두에 약물-행동 병행치료를 6주 동안 진행했다.

결과는 1차 실험에서 약물-행동 병행치료에 참여했던 그룹이 소변 빈도가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 치료는 소변을 내보내는 방광의 괄약근을 강화하는 골반저근 운동(pelvic floor muscle training)에 소변을 참았다가 보는 습관 들이기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약물치료에는 톨테로딘(제품명: 데트롤)과 탐술로신(플로맥스)이 사용됐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스탠퍼드대학 의대 비뇨기과 전문의 크레이그 코미터 박사는 과민성 방광은 투약에 앞서 행동 치료부터 하도록 권고하는 치료 지침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그렇게 하면 구강 건조, 안구건조증, 변비, 치료제의 부작용, 졸음 같은 치료제 부작용도 피할 수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내과학(JAMA Internal Medicine) 최신호(1월 13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세브란스병원, 폐암 환자에게도 중입자 치료 시작
세브란스병원이 폐암 환자에게도 암세포를 정밀 타격하는 중입자 치료를 시작했다. 25일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연세암병원은 폐암 초기 환자인 김모(65)씨를 대상으로 회전형 중입자 치료기를 활용한 치료를 개시했다. 치료는 이날부터 일주일 동안 총 4회 진행된다.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이온을 거대한 입자 가속기에 주입해 암세포를 정밀 조준 타격함으로써 사멸시키는 최첨단 대형 치료 장비다. 정상 세포는 피하면서 암세포에만 고선량 방사선을 집중할 수 있어 치료의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 효과는 높일 수 있다. 정확도가 높은 편이어서 치료 기간도 대폭 단축된다. 국내에서는 연세암병원이 유일하게 고정형 중입자 치료기 1대와 회전형 중입자 치료기 2대를 도입해 가동 중이다. 고정된 각도에서 고선량 방사선을 조사(照射)하는 고정형 치료기는 주로 전립선암에, 누워있는 환자 주위를 360도 돌아가는 회전형 치료기는 주변에 다른 장기가 있어 다양한 각도로 방사선을 조사해야 하는 췌장암, 간암, 폐암 등에 쓴다. 연세암병원은 그동안 전립선암 환자 위주로 중입자 치료를 해오다 최근 췌장암, 간암에 이어 이번에는 폐암까지 확대했다. 하반기에는 두경부암에도 중입자 치료를 적용할 계획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건강기능식품, 중고 플랫홈 거래 허용'…당근 "인증 없으면 자동삭제"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한 개인 간 건강기능식품(건기식) 거래가 허용되면서 시범사업에 나선 거래 플랫폼들이 부적합 게시물 차단에 나섰다. 25일 ICT(정보통신기술)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당근마켓은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서 건강기능식품을 나타내는 문구나 마크가 없는 사진이 올라올 경우 자동으로 삭제하고 게시자에게 관련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새 시스템에는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 판독을 위한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이 활용됐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건강기능식품 기준에 맞지 않는 게시물을 막기 위한 기술을 계속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당근마켓은 지난 18일 공지사항을 통해 이용자에게 "의약품 중고 거래 및 나눔은 불법"이라고 재차 안내했다. 약국,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의약품은 약사법에 따라 중고 거래가 금지되는 데 건강기능식품 거래 허용으로 인해 헷갈리는 이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서다. 번개장터는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은 게시물이 적발될 경우 순차적으로 제재 강도를 높이는 방식을 채택했다. 1차 위반 시 경고 조치 후 상품 삭제, 2차 위반은 3일 판매 제한, 3차 위반은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