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키우는 줄기세포, 신경과 떨어지면 힘 못 쓴다"

암 진행 및 조직 재생 과정의 신경-줄기세포 상호작용 확인
스위스 취리히대 연구진, 저널 '셀'에 논문

 우리 몸의 줄기세포는 다양한 조직을 새로 만들어 정상적인 신체 기능 유지에 꼭 필요하다.

 그런데 줄기세포가 좋은 일만 하는 건 아니다. 줄기세포는 암의 진행과 전이에도 관여한다.

 줄기세포의 생리 작용과 재생 과정은 기본적으로 신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줄기세포와 신경세포(뉴런) 간의 상호작용이 암과 재생 조직에서 어떻게 서로 다른지는 거의 밝혀진 게 없다.

 스위스 취리히대 과학자들이, 암의 진행과 조직의 재생 과정에서 줄기세포가 어떻게 신경의 성장을 촉진하는지 밝혀냈다.

 이 발견은 신경세포와 암 줄기세포 사이의 신호를 조작하는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어 주목된다.

 취리히대 구강 생물학 연구소의 티미오스 미치아디스 교수팀은 관련 논문을 저널 '셀(Cell)'에 발표하고, 별도의 논문 개요를 23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먼저 신경세포가 각각 치수(dental pulp) 줄기세포, 골수(bone marrow) 줄기세포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비교했다. 이들 줄기세포는 뼈, 연골, 지방세포 등 다양한 유형의 세포로 분화한다.

 이 실험엔 인간 장기와 조직의 기본 기능을 모방해 재현하는 '칩 속의 기관(organ-on-a-chip)'이라는 첨단 기술이 동원됐다.

 결과는 두 줄기세포 모두 신경의 성장(neuronal growth)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치수 줄기세포의 촉진 작용이 골수 줄기세포보다 훨씬 더 강했다.

 치수 줄기세포는 더 길고 가는 세포신경를 유도했고, 더 촘촘한 신경망을 형성했으며, 신경세포와 더 밀접하게 접촉했다.

 미치아디스 교수는 "구강 줄기세포는 뉴런의 성장과 유인에 필수적인 물질을 생성해 풍성한 신경 분포를 유도한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치수의 구강 줄기세포가 안면 신경과 기능적 연결을 형성해, 신경이 잘 퍼지고 제대로 기능하는 조직의 재생을 선택한다는 걸 시사한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연구팀은 또한 구강암의 일종인 '법랑질 아세포종(ameloblastoma)'이 줄기세포의 특성을 보이고, 안면 신경과도 촘촘히 연결돼 있다는 걸 확인했다.

 이 암세포를 떼어내 '칩 속의 기관' 기기에 넣어도 줄기세포 특성을 유지하면서 신경을 끌어들여 접촉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피에르프란세스코 파헤야 박사는 "암 줄기세포가 생존을 유지하면서 제 기능을 하려면 신경이 꼭 필요한 것 같다"라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효과적인 암 치료법 개발로 이어지 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책결정 과정에 의대생도 참여시켜야"…의협 세미나서 주장
이번 대선에 출마한 주요 후보들의 보건의료 공약이 구체성이 떨어지고 정부 개입 확대 등 '큰 정부'를 시사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런 점을 극복하려면 정부가 '지휘'(control)가 아닌 '조율·조정'(coach) 역할을 해야 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 의대생도 참여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의협이 주최한 세미나에서 한 의대 교수의 주장이다. 주효진 가톨릭관동대 의대 교수(한국정책학회 연구부회장)는 27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의협·한국정책학회 공동 기획 세미나에서 대선 후보자의 보건의료 정책 공약 분석·평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주 교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고 국민 참여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의료 개혁을 공약으로 제시하며 민주성과 공공성을 강조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 개혁을 원점 재검토하고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웠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보건부 독립과 응급의료체계 재설계 등을 공약하고 보건 행정의 전문성과 정부 조직 구조 개편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주 교수는 "그러나 후보자들 공약에는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아주대 "생체환경 내 약물 방출시간·위치 제어기술 개발"
아주대학교는 생체 환경에서 화합물인 '비스하이드록시 트랜스 사이클로옥텐'(C2TCO)을 활용해 약물의 방출 시간과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교내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체내에서 정해진 두 물질끼리만 결합하도록 하는 '생물직교성 클릭 화학' 기술과 연관돼 있다. 아주대 첨단바이오융합대학·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소속 김은하·김욱·유태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방식 가운데 '클릭 투 릴리즈'(click-to-release)라는 기법을 더욱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 기법을 활용하면 설계자가 원하는 반응을 통해 약물이나 형광물질 등을 원하는 시점과 장소에 떨어뜨려 방출할 수 있다. 항체에 약물을 달아 주사한 뒤 이 약물이 암 조직 주변에 도달했을 때 다른 약물을 복약하도록 하면 두 물질이 활성화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거 이 기법에는 '트랜스 사이클로옥텐'(TCO)을 활용했는데, 연구팀은 이 물질의 개량형인 생체적합성 링커 화합물 '비스하이드록시 트랜스 사이클로옥텐'을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아울러 이러한 합성 기술을 토대로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