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수유, 난소암 24% 감소와 연관"

 모유 수유가 난소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 브리검 여성병원 산부인과 전문의 사사모토 나오코 교수 연구팀은 모유 수유를 많이 한 여성일수록 난소암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UPI 통신이 4일 보도했다.

 난소암 환자 9천973명(평균연령 57세)과 난소암 없는 여성 1만3천843명(평균연령 56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녀 1인당 모유 수유 기간, 최초-최후 모유 수유 연령, 최후 모유 수유 이후 경과한 시간 등 모유 수유 이력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전체적으로 모유 수유는 난소암 위험 24%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 수유 기간이 긴 여성일수록 난소암 위험은 더욱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모유 수유 1~3개월은 난소암 위험이 18%, 12개월 이상은 34%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마지막 모유 수유 이후 경과한 시간이 10년 이내인 여성은 난소암 위험이 44%, 30년 이내인 여성은 17%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요한 것은 모유 수유와 연관된 난소암 위험 감소 효과가 임신과 연관된 단독 효과보다 크다는 점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는 그러나 출산한 여성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자녀가 없는 여성은 해당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미국 암학회(ACS: American Cancer Society)에 따르면 매년 20만 명이 넘는 미국 여성이 난소암 진단을 받고 있으며 대부분 예후가 나쁘다.

 난소암은 유방암, 자궁경부암과는 달리 신뢰할만한 검사법이 없다. 더군다나 하복부의 불편감과 통증, 소화 장애 등 증상마저 모호해 조기 진단이 어렵다.

 따라서 상당히 진행된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5년 생존율은 30~40%에 불과하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종양학(JAMA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해외 시장 직접 공략"…직판 체제 강화하는 제약·바이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판매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현지 파트너사를 거치는 것보다 초기 비용은 더 많이 들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직판이 수익 증대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달 스페인에서 직판 체제를 구축했다. 기존 스페인 유통 파트너사 '컨파마'와 협의를 거쳐 현지법인 주도의 직판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해 말에는 스위스 제약 유통사 '아이콘'을 인수하며 현지 직판에 착수했다. 셀트리온은 2020년 '램시마'를 시작으로 유럽에서 전 제품에 대한 판매 방식을 직판으로 전환했다. 2023년에는 미국 시장 판매 구조도 직판 형태로 바꿨다. 이 회사는 최근 분기 보고서에서 직판에 대해 "각 국가 내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다년간 쌓은 시장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태훈 셀트리온 유럽본부장도 최근 셀트리온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럽 법인의 성장 배경으로 '직판을 통한 소통'을 지목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미국 직판 플랫폼을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엑스코프리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