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가톨릭대 "메르스 백신 후보 개발…동물 실험서 효과"

금교창 단장 "코로나19 백신 개발에도 기술 적용 기대"

 국내 연구진이 2015년 국내에서 유행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메르스 바이러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같은 계열의 코로나바이러스인 만큼, 연구진은 관련 기술을 코로나19 백신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4일 금교창 뇌의약연구단장과 방은경 박사팀이 남재환 가톨릭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이런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온라인 4월 1일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백신 후보물질의 주성분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사람 세포 속으로 침투할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침투돌기 단백질)이다. 이론적으로는 이 바이러스 단백질이 몸안에 들어가면, 체내 면역체계가 작동해 메르스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항체가 만들어지게 된다.

 항체 생성률을 높이기 위해 연구진은 면역세포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면역증강제를 추가했다. 면역증강제로는 귀뚜라미에 감염되는 바이러스(cricket paralysis virus)의 유전물질(RNA·리보핵산)을 썼다. 또 백신의 구조를 안정화할 수 있게 아연이 포함된 화합물을 첨가했다.

 연구진은 동물실험을 통해 백신 후보물질의 성능을 확인했다. 이 물질을 쥐에 주사하자 메르스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는 항체가 생성됐다. 1회 접종만으로 충분한 양의 항체가 생성됐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원숭이에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했을 때도 항체가 생성돼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이 억제됐다.

 금교창 단장은 "메르스 바이러스에서 효과를 보인 이 백신 후보물질 관련 기술은 같은 계열 바이러스인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재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백신은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단백질 백신에 RNA를 면역증강제로 첨가한 것"이라고 소개하며 "더 안전한 백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KIST는 현재 가톨릭대 연구팀이 이 백신 플랫폼을 활용해 코로나19 치료용 백신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예방용 백신을 개발 중이며, 공동 연구팀과 함께 SK 바이오사이언스와 컨소시엄을 구성,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