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지난해 암 1천937건 조기발견...갑상선,위,대장직장,유방암 순

KMI한국의학연구소, 2020년 암 1937건 조기 발견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종합건강검진기관인 KMI한국의학연구소가 지난해 1천937건의 암을 조기에 발견, 국민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KMI는 2020년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 102만3천836명 가운데 2만8천237명이 중증질환의심 환자로 분류됐고, 이 가운데 1천937건이 암으로 최종 확진됐다고 29일 밝혔다.

  암 진단 건수는 ▲2015년 1천360건 ▲2016년 1천600건 ▲2017년 1천478건 ▲2018년 1천629건 ▲2019년 1천900건 등으로, 2020년은 전년 대비 1.9%(37명) 증가했다.

 최근 10년(2011-2020년) 간 진단된 암은 1만6천413건에 달한다.

 지난해 확진된 암의 경우 갑상선암이 697명(36.0%)으로 가장 많고, 위암 339명(17.5%), 대장직장암 265명(13.7%), 유방암 200명(10.3%) 등 순이다.

 특히 한국인에서 사망률 1위인 폐암(54명) 등도 다수 진단되었으며, 암 진단 연령대에는 20~30대도 512건이 포함됐다.

  남성은 920명 가운데 갑상선암이 302명(32.8%)으로 가장 많고, 이어 위암 232명(25.2%), 대장직장암 161명(17.5%), 신장암 42명(4.6%), 전립선암 36명(3.9%), 폐암 33명(3.6%), 간암 22명(2.4%) 순이다.

 여성은 1천17명 가운데 갑상선암 395명(38.8%), 유방암 200명(19.7%), 위암 107명(10.5%), 대장직장암 104명(10.2%), 자궁경부암 85명(8.4%), 뇌종양 25명(2.5%), 폐암 21명(2.1%), 신장암 21명(2.1%) 등 순으로 드러났다.

 KMI 안지현 교육연구부장(대한검진의학회 총무이사)은 “암, 심혈관질환 등 중증질환은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며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흡연, 과음 등 생활습관이 안 좋을수록 종합검진이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국가건강검진이 올 6월까지 연장되었고, 검진기관은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며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니 검진을 미루지 말고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KMI는 재단 산하 전국 7개 건강검진센터(광화문·여의도·강남·수원·대구·부산·광주)의 전체 내원객을 대상으로 체온 측정 및 코로나19 위험지역 방문이력 조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KMI의 공식 유튜브 채널(Channel KMI)과 유튜브 안지현TV, KMI사회공헌사업단 산하 학술위원회(학술위원장 신상엽 감염내과전문의) 등을 통해 코로나19를 비롯한 주요 질환의 건강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1985년 설립된 KMI는 전국 7개 지역에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종합건강검진기관으로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활동과 더불어 KMI사회공헌사업단을 통해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의료 최후 보루 국립대병원 존립위기…'수술'없인 미래 없다
지역 필수의료의 붕괴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는 국립대학병원이 인력 유출, 시설 노후화, 환자 감소의 삼중고에 시달리며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국립대학병원 혁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대병원의 현실은 암담하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의료 인력의 붕괴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병상당 의사 수는 0.36명으로, 서울 '빅5' 병원의 0.60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의사 한 명이 감당해야 할 환자 수가 훨씬 많다는 의미다. 낮은 급여와 열악한 근무 환경은 의료진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으며, 특히 간호 인력은 2년 내 퇴사율이 50%를 훌쩍 넘어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는 것조차 버거운 실정이다. 낡은 시설과 장비는 환자들의 발길을 돌리게 만드는 또 다른 핵심 원인이다. 유방암 진단의 기본 장비인 맘모그래피의 경우 국립대병원의 장비 노후화율은 37.1%에 달하지만, 빅5 병원은 4.3%에 그쳤다. 최신 의료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경은 환자들의 수도권 '원정 진료'를 가속화하고, 이는 다시 병원의 수입 감소와 임상 경험 축소로 이어져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화학물질·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 미세플라스틱의 습격 지난 2018년 8월부터 커피전문점 매장 내에서 일회용 컵 사용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정부 정책이 시행됐다. 조금 불편해지기는 했지만, 필자는 굉장히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정책을 통해 차가운 음료의 테이크아웃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환경문제에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미세플라스틱이다. 미세플라스틱은 말 그대로 아주 작은, 미세한 플라스틱을 말한다. 미세함의 기준에 대해서는 공통된 정의가 없으나 대개는 직경 5밀리미터 이하로 규정한다. 미세플라스틱이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지금 우리 주변에도 무수히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치약, 세정제, 화장품 등 각종 제품 속에 이미 상당량의 미세플라스틱이 들어 있다. 그러면 미세플라스틱이 왜 갑자기 주목받게 된 것일까? 그것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 여러분 중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을 다룬 다큐멘터리나 바지락, 굴 등 조개류 섭취를 통해 한 사람이 매년 212개의 미세플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