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환자에 '무선' 심박동기 삽입술 국내 첫 성공

서울대병원 부정맥팀, 서맥성 부정맥 환자 2명에 시술

 서울대병원이 심장이 느리게 뛰는 서맥성 부정맥 환자에 무선 심박동기를 삽입하는 데 성공했다.

 국내에서 전선이 없는 무선 심박동기 삽입을 시도하고 성공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병원 부정맥 연구팀(오세일·최의근·이소령 교수)은 최근 심박동기 치료가 필요한 80세와 67세 여성 환자에 무선 심박동기를 삽입해 무사히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서맥성 부정맥은 보통 분당 60∼100회 정도인 심장 박동 수가 50회 미만으로 떨어졌을 때를 칭한다.

  심해지면 어지럼증과 호흡곤란을 느낄 뿐만 아니라 실신과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일시적으로 심장이 느리게 뛰는 서맥은 약물 치료가 가능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노화한 심장이다.

  인공심박동기는 심방과 심실 사이 결절 부위에 전기를 전달해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게 돕는다.

 그러나 최근 메드트로닉이 전선 없이 무선으로 작동하는 심박동기를 개발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크기가 소형 건전지보다도 작아 대퇴부 정맥을 통해 심장 안으로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피부를 절개하지 않아 흉터도 없고 회복이 빨라 환자 만족도가 높다.

 이소령 순환기내과 교수는 "이번 시술은 국내에 최초로 도입된 무선 심박동기 시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서맥성 부정맥 환자에게 편리한 무선 심박동기 시술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