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웠다가 포근했다가' 지난 겨울 기온변동폭 역대 두번째로 커

최저기온 1월 7∼10일 4일연속 가장 낮고, 21∼25일 5일연속 가장 높아

 지난 겨울(2020.12∼2021.2) 기온 변동 폭이 역대 두 번째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지난 겨울은 찬 대륙고기압과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 변동 폭이 전국 기상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컸다고 7일 밝혔다.

 특히 1월은 7∼10일 4일 연속 하루 최저기온이 역대로 가장 낮았고, 21∼25일 5일 연속은 하루 최고기온이 가장 높아 1973년 이후 변동 폭이 가장 컸다.

 2월은 큰 기온 변동과 함께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이 우세한 가운데 강한 햇볕까지 더해져 고온현상을 보인 날이 많았다.

 한파가 발생한 원인은 12월 중순∼1월 상순 북극 기온이 높아 제트기류(상층의 강한 바람띠)가 약해진 데다 우랄산맥 부근에 따뜻한 공기 덩어리가 정체하면서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까지 남하하기 쉬운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열대 태평양에서는 라니냐가 지속하는 가운데 서태평양에서는 상승기류(대류활동 증가)가, 중태평양에서는 하강기류(대류활동 감소)가 각각 우세해져 열대-중위도의 대기 반응이 우리나라 북동쪽 저기압 발달에 기여하면서 찬 북풍 기류가 세졌다.

 1월 중순 이후에는 우랄산맥 부근의 따뜻한 공기덩어리가 약화하고 상층 흐름이 남북에서 동서로 바뀌면서 찬 공기의 중심이 북동쪽으로 이동해 대기 하층에서는 찬 대륙고기압 대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다.

 1월 말과 2월 말에는 남풍 기류의 유입과 함께 강한 햇볕, 일시적 동풍에 의한 푄 효과가 더해지면서 전국에 고온현상이 나타났다.

 강수는 1973년 이후 여섯 번째로 적었다.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과 따뜻하고 건조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건조한 상황에서 서해상의 해기차(해수면 온도와 대기의 온도차)와 기압골의 영향을 받아 눈과 비가 여러 차례 내리는 등 날씨 변화가 컸지만, 전국 강수량은 역대 최소 6위인 464.7㎜에 머물렀다.

 강원 영동은 동풍이 약해 강수 현상이 매우 적었고, 중부지방을 중심으로는 서∼남서쪽에서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가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상층의 매우 찬 공기와 충돌하면서 눈구름대가 자주 발달하는 특징을 보였다.

 1월 28∼29일과 2월 15∼17일은 발달한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하고 그 뒤를 따라 찬 대륙고기압이 빠르게 접근하면서 전국에 매우 강한 바람이 불어 구조물 추락 등 강풍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미국은 본토의 70% 이상이 눈으로 덮였고 텍사스주에는 이례적 폭설과 한파로 인해 1조원 이상의 피해가 나타났다.

 또 대만은 북극발 한파로 인해 10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이상기후로 인해 곳곳에서 기상재해가 빈번했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지난 겨울은 강한 한파와 기습 폭설, 강한 바람, 이상고온 등 계절 내 기후 변동이 급격하게 나타났다"며 "기상청은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기상재해와 기후분석 정보를 미리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0년 12월∼2021년 2월 전국 강수량 일변화 시계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