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 눈 결막 홍합접착단백질·양막으로 재생

포항공대·동아대병원 연구팀 개발…기존 봉합실 사용보다 수술시간 줄어

 손상된 눈 결막을 홍합과 양막으로 재생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연구팀(맹성우 석박사통합과정, 박태윤 박사)이 동아대학교병원 안과 박우찬 교수 연구팀(민지상 박사)과 함께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수술용 봉합실 없이 양막을 이식하는 수술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양막은 태반 안쪽 배아를 덮고 있는 막으로 배아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상피 재생을 촉진하는 인자들이 많아 이식을 통해 안구 표면을 재건하는 데 많이 활용된다.

 다만 현재 양막 이식 수술에서는 봉합실을 사용해 꿰매고 안구 표면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안구 표면에 흉터가 남고 양막의 두께가 얇아 정교한 봉합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연구팀은 홍합접착단백질에 기반한 광가교 접착제 '픽스라이트'를 이용해 결막 결손이 있는 토끼 모델의 안구 표면에 이식해 관찰했다.

 그 결과 봉합실을 이용한 기존 이식 방법보다 5배 이상 빠르게 수술을 마칠 수 있었고, 결막 재생 치료 효과도 기존 봉합실 이용법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온라인판에 실렸다.

 광가교 홍합접착제 픽스라이트는 현재 네이처글루텍에 기술이전을 완료해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차형준 포항공대 교수는 "홍합접착단백질이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봉합실을 대체하는 안전한 생체접착제로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우찬 동아의대 교수는 "양막 이식은 안구 표면 재건에서 중요한 수술인데 광가교 홍합접착제를 이용해 양막 이식을 빠르고 안전하게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결막 이식 등 안구 표면의 다른 이식 수술이나 백내장 수술 후 절개창의 봉합과 같은 다른 안과 수술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본 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분야 더 많이 받도록 건강보험 지불제도 개선"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보상을 늘리기 위해 건강보험 지불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의료행위를 많이 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는 기존의 '행위별 수가제'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필수의료 분야의 '상대가치 점수'를 인상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과 성과에 따라 의료기관별로 차등 보상하는 대안적 지불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이중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3일 기자들과 만나 "행위별 수가제도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원가 보상률이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며 "상대가치 수가 집중 인상과 보완형 공공정책 수가, 대안적 지불제도 도입 확대 등을 통해 보상 체계를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가'는 건강보험에서 의료기관 등에 의료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이다. 우리나라 수가제도는 진찰, 검사, 처치 등 의료행위별로 수가를 매겨 대가를 지급하는 '행위별 수가제'를 근간으로 한다. 행위별 수가는 의료행위의 가치를 업무량과 인력, 위험도 등을 고려해 매기는 '상대가치점수'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병원, 의원, 약국 등 기관별로 매년 협상을 통해 결정하는 '환산지수'를 곱하 고, 각종 가산율을 반영해 책정된다. 이 제도는 의료행위를 많이 할수록 수익이 늘어나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모유 통해 흡수한 초미세플라스틱이 비만 초래할 수 있다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관찰·검출이 거의 불가능한 초미세플라스틱이 자녀의 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이다용 박사 연구팀은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이돼 자손의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일으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쥐 모델을 통해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체의 모유 성분에 변화를 유발하고, 이를 섭취한 자손은 지질 대사체 이상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변화가 일어나 비정상적 과체중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폴리스타이렌(PS)과 폴리프로필렌(PP) 초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모체의 자손이 성장호르몬 분비량이나 섭취량 증가가 없음에도 몸무게와 체지방이 두드러지게 증가함을 관찰했다. 모체의 모유를 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관련이 높은 지질 성분인 LPC(리소포스파티딜콜린)는 증가하고 PC(포스파티딜콜린)는 감소해 있었고, 모유를 섭취한 자손의 혈액에서도 이와 유사한 변화를 확인했다. 관련 효소 활성 조절을 통해 초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지질 성분 변화를 억제하자 자손의 몸무게 증가가 정상적으로 회복됐다. 초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자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