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웅담'을 품은 여름 보양 생선 '농어'

동의보감에 '오장을 튼튼하게…' 단백질·비타민 풍부

 햇볕 뜨거운 여름이 다가올수록 제철을 맞은 생선이 있다.

 이맘때쯤 회센터 안을 기웃거리면 횟감을 파는 업주들이 하나같이 추천하는 생선이다.

 이른바 부산지역에서는 '깔다구', '깔대기', '깡다구'로 불리는 농어다.

 지금부터 8월까지 횟집을 찾는 미식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회가 농어회다. 모듬회를 주문하면 쟁반 가장 가운데 위치한다.

 제철 맞은 농어가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끄는 이유는 여름철 원기회복에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여름철 농어는 바라보기만 해도 약이 된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다.

 실제 여름철 농어는 다른 생선보다 단백질 함량이 월등히 높고, 비타민이 풍부해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동의보감에는 '오장을 튼튼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강화한다'고 기록돼 있다.

 농어의 쓸개 역시 건강식으로 유명하다.

 문헌에 따르면 선조들은 농어의 쓸개를 '바다의 웅담'이라 부르며 농어 쓸개를 넣고 담근 쓸개주를 과음한 다음 속을 풀기 위해서도 마셨다고 한다.

 농어는 주로 부산, 목포 등 해안가를 끼고 있는 지역에서 많이 먹는다.

 부산 해역에서 잡은 생선은 다 모여 있다는 수영구 민락회센터를 찾았다.

 묻기도 전에 한 업주가 "지금은 농어가 제철이지예"라며 먼저 외쳤다.

 싱싱한 농어가 금방 들어왔다고 자랑하던 그는 "질 좋은 농어는 시계방향으로 돈다"며 "농어는 성장할수록 맛이 든다. 크면 클수록 좋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뚝딱 손질을 마친 농어회를 들고 홀이 있는 2층으로 올랐다.

 자리를 잡고 흰 살 농어를 한입 맛보니 두툼한 살집이 탄력 있게 느껴졌다.

 특유의 감칠맛이 느껴졌는데, 씹을수록 단맛과 고소한 맛이 강하게 올라왔다.

 농어회를 맛보던 한 손님은 "참돔보다 쫄깃한 식감"이라며 "비린 맛이 없고 담백해 계속 먹게 된다"고 했다.

 농어는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더 많이 찾는 생선으로, 관련 음식 종류 역시 다양하다.

 회뿐 아니라 구이, 탕 등으로도 많이 해 먹는다.

 부드러운 식감으로 외국에서도 식당, 가정을 가리지 않고 즐겨 먹는다.

 익히 알려진 '피쉬 앤 칩스'에도 농어가 많이 사용되듯, 부산지역에 있는 술집에 가면 종종 농어 튀김을 맛볼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얼마나 돌아올까…이번주 수련협의체 논의 주목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논의도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오는 7일 전공의 수련협의체 논의에 따라 하반기 모집 공고가 곧 이뤄질 예정인데, 1년 6개월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얼마나 수련 재개를 택할지 주목된다. 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오는 5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하반기 인턴·레지던트 모집인원 신청을 받는다. 수련병원별 모집 신청이 이뤄지면 이르면 오는 8일, 늦어도 다음 주 초엔 병원별로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필수과목 레지던트 1년 차로 수련을 새로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한 필기시험 원서 접수도 오는 4∼5일 이뤄진다. 16일 치러지는 필기 응시자들과 원 병원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중순 이후 병원별로 함께 면접을 거친 후 9월 1일 수련을 시작할 예정이다.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내기 전에 정부와 전공의, 수련병원들이 협의해야 하는 것들이 남아있다. 사직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조치들로, 대표적인 것이 미필 전공의들을 위한 입영 특례다. 의무사관후보생인 미필 전공의들은 사직하면 자동으로 군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마트폰으로 소형 캡슐 조정해 장내 대장균 질병 진단·치료"
스마트폰 블루투스로 조종할 수 있고 삼킬 수 있는 소형 캡슐을 이용해 장내에 있는 유전자 조작 대장균을 제어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중국 양링 서북농립과기대 타오펑 두 교수와 톈진대 한제 왕 교수팀은 과학저널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서 소형 스마트 캡슐이 내는 빛에 반응하도록 대장균(Escherichia coli) 유전자를 조작하고, 캡슐을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에 연결해 돼지 장내 대장균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스마트폰으로 조종할 수 있는 캡슐을 이용해 외부에서 돼지 장내 박테리아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박테리아를 제어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를 대장염(colitis) 같은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에는 수많은 미생물은 서식하고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들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연구팀은 특히 대장균 같은 박테리아는 동물 내부 특정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할 수 있지만, 박테리아가 일반 동물 몸속으로 들어가면 그것들과 통신하거나 이들의 거동을 제어하기는 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