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다가 당하는 소아 저혈당증, 혈당안전시키는 실마리 찾아

혈당 떨어지면 글루카곤 공급하는 '하이드로젤 투여법'
미국 노트르담 대학 연구진, '미국 화학학회 저널'에 논문

 당뇨병은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는 것에서 온다.

 베타 세포가 손상되는 기전은 당뇨병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

 더 흔한 2형 당뇨병은 신체 조직의 인슐린 내성이 문제를 일으킨다. 이런 환경에서 베타 세포는 끝없이 인슐린을 만들다가 탈진해 죽는다.

 전체 환자의 약 10%를 점유하는 1형 당뇨병은 면역 과민 반응으로 베타세포가 파괴된다.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인 셈이다.

 대부분 30세 이전, 특히 어린이에게 많이 발병하는 1형 당뇨병은 치료법이 없다. 생명을 유지하려면 계속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1형 당뇨병을 앓는 어린이는 흔히 수면 도중 혈당치가 급격히 떨어지는 저혈당증에 시달린다.

 이런 저혈당증이 무서운 건 밤새도록 주위 사람이 알아채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잠자던 아이는 그대로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심하면 목숨을 잃기도 하는데 이런 걸 통칭 '침대 사망 증후군(dead-in-bed syndrome)'이라고 한다.

 아직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이런 수면 저혈당증을 예방하는 하이드로젤(hydrogel) 치료법이 미국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됐다.

 글루카곤이 든 하이드로젤(물을 용매로 하는 젤)을 먹고 잠자리에 들면 저혈당이 왔을 때 글루카곤을 공급해 혈당을 안정시키는 기발한 투여법이다.

 이 연구를 수행한 미국 노트르담 대학의 매튜 웨버 화학·생물분자 공학 부교수 연구팀은 19일(현지 시각) 미국 화학학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한밤중에 잠자던 아이에게 갑자기 저혈당증이 오면 부모는 당황할 수밖에 없다.

 아이의 혈당을 체크하느라 밤잠을 설치는 건 다반사고, 혈당이 안정되지 않으면 급히 병원을 찾아가야 한다.

 위급 상황에서 글루카곤 주사는 일시적으로 혈당을 안정시켜 병원에 갈 시간을 벌어준다.

 웨버 교수는 "글루코스(포도당) 반응 물질을 연구할 땐 보통 인슐린 공급으로 혈당이 치솟는 걸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라면서 "필요할 때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하이드로젤을 이용하면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게) 혈당을 조절하는 주기를 만들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동물 실험 결과, 스파게티 국수와 비슷한 입체 그물망 구조를 가진 이 하이드로젤은 혈당이 떨어졌을 때 분해돼 글루카곤이 풀려 나오게 했다.

 상용화 단계까지 가면 매일 밤 잠들기 전에 투여하는 게 이상적일 거라고 연구팀은 말한다.

 웨버 교수는 "잠자리에 들고 세 시간 또는 다섯 시간 뒤에 저혈당이 온다고 치면, 기술적으로 그것에 맞춰 약물이 풀리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다. 아주 가까운 미래에 이런 약을 쓸 수 있으리라 기대하면 안 된다는 뜻이다.

 동물 실험에 성공하긴 했지만, 아직 하이드로젤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포도당이 있을 때 충분히 안정 상태를 유지하다가 부족할 때만 정확히 반응하는지, 유사  그물망 구조에서 미리 글루카곤이 새 나오지는 않는지 등을 검증하고 보완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하이드로젤의 안정성과 반응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물론 궁극적인 목표는 최대한 빨리 인간에게 쓸 수 있는 약을 개발하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