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ID로 병원진료·투약이력 등 건강정보 확인

네이버 ID로 '네이버 인증서' 발급받아 '나의건강기록' 로그인 가능

 

  네이버 아이디만 있어도 병원 진료·투약 이력 등 개인 건강 관련 기록을 볼 수 있는 '나의건강기록' 앱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네이버 아이디를 활용해 나의건강기록 앱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했다고 29일 밝혔다.

 네이버 아이디가 있는 이용자는 민간 인증 서비스인 '네이버 인증서'를 발급받은 뒤 나의건강기록 앱에 로그인할 수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나의건강기록 앱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네이버·카카오와 업무협약을 맺어 올해 9월부터 네이버나 카카오 아이디로 앱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국민 정책 디자인단'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 우선 네이버 아이디를 활용하는 방안을 실현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카카오 아이디로도 로그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선을 계속 추진하는 한편 지금은 안드로이드 버전만 있는 나의건강기록 앱의 아이폰 버전을 올해 9월 중 출시할 계획이다. 사용자 이용환경·경험(UI/UX)도 개선한다.

 복지부 신욱수 의료정보정책과장은 "네이버 아이디 로그인 도입으로 공공기관이 보유한 건강정보를 국민이 더욱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국민 의견 수렴 및 적극행정을 통해 나의건강기록 앱 개선 사항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네이버 아이디로 나의건강기록 앱 로그인하는 법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