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서 겨울 사라지고 여름은 길어져

제주기상청, 24절기·계절길이 변화 분석 자료집 발간

 지난 60년(1961∼2020) 제주도에서는 기상학적 '겨울'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지방기상청은 이런 내용을 포함한 '제주도 24절기·계절길이 변화 분석 자료집'을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자료집에 따르면 최근 60년 중 전반 30년(1961∼1990)과 후반 30년(1991∼2020)을 비교 분석한 결과 봄 시작일은 2월 3일에서 1월 27일로 7일 앞당겨졌고, 여름 시작일은 6월 7일에서 5월 30일로 8일 앞당겨졌다.

 가을 시작일은 10월 5일에서 10월 12일로 7일 늦어졌다.

 겨울 시작일은 일 평균기온이 5도 미만으로 내려간 뒤 10일 동안 지속될 때 그 첫날이라고 정의하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제주도에는 사계절 중 겨울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계절 길이는 봄은 124일에서 123일로 1일 짧아졌고, 여름은 120일에서 135일로 15일 길어졌으며, 가을은 121일에서 107일로 14일 짧아졌다.

 또한 24절기의 기온 변화 추세를 보면 백로를 제외한 모든 절기에 기온이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기온 상승 경향은 특히 겨울철 절기에서 뚜렷했다. 입동의 최저기온은 60년간 6.1도 올랐으며, 대한의 최저기온은 4.4도 상승했다.

 자료집은 제주지방기상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