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눈으로 보는 추억'...안성JC, 어르신 장수행복사진 봉사

 (안성=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안성 청년회의소(회장 권혁석) 회장단과 집행부, 회원 등 10여명은 25일 안성 미리내 오로지종합복지법인을 찾아 장수행복사진을 찍어드리고 음식을 대접, 어르신의 해맑은 미소를 찾아줬다.

 이들은 사모관대와 활옷과 족두리 등을 준비하고 복지법인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옛날 결혼식을 재연해 재미를 더했고, 어르신들은 큰 박수로 화답했다.

 또 밥차를 이용해 짜장면과 탕수욕을 제공하고 음료수와 과일을 대접하면서 행복한 시간을 가졌다.

 이진학 어른신은 “젊은 청년들이 어르신을 섬기기 위해 준비한 봉사활동에 감사한다”며 “보답하는 길은 더 열심히 신앙생활과 운동으로 노후를 보람있게 보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종남원장(요셉신부)은 “사진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기억으로, 어르신에게 아름다운 기억을 만들어주신 안성JC회원 여러분에게 감사드린다”며 “ 앞선 세대에 대한 감사함과 섬김을 보여주신 회원 여러분의 축복이 가득하기를 기도한다”고 말했다.

 이번행사는 미리요양원 미리내실버타운 성베드로의집, 대건효도병원에입소하신 어르신 100명과 방역과 거리두기로 진행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병원급 의료기관을 새로 열기 위한 절차가 한층 까다로워진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신청 전에 시도 의료기관개설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하고 다음 달 21일까지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공포된 개정 의료법의 후속 조치로, 병상 과잉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의료 자원의 균형 있는 배치를 유도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사전심의 절차' 신설이다. 기존에는 병원 설립 때 시설, 인력 등 법정 기준만 충족하면 비교적 쉽게 개설 허가를 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이 기준 충족 여부와 별개로 시도 단위의 위원회 심의라는 관문을 먼저 통과해야 한다. 정부가 이런 제도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병상 수급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특정 지역에 병상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불필요한 의료 경쟁을 유발하고, 정작 의료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특히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효율적으로 의료 자원을 관리하는 게 그 어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노년기 유튜브 과의존…편향된 유튜브 이용이 결국 중독 불러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에게 소셜미디어(SNS) 속 영상과 댓글, 알림음은 이제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됐다. 이 중에서도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률을 견인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하지만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그동안 노인들에게 친구 노릇을 해온 유튜브의 과의존 및 중독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게 만들어진 유튜브의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고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해국 교수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노인 계층 디지털미디어 중독의 숨겨진 역학'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짚었다. 이 교수는 먼저 국내에서 노인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에 따른 중독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매년 높아져 2024년에는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특히 구별되는 건 다양한 매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