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위생 논란' 순대업체에 대해 행정처분·수사의뢰 요청

"진성푸드, 위생기준 위반 확인"…이마트·GS리테일 등 판매업체도 행정처분 요청
"해썹평가 '부적합' 판정·세척 소독상태 미흡"…업체 측 "악의적인 제보…억측" 반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비위생적인 제조시설 관리 논란을 빚은 진성푸드의 순대 제품에 대해 위생 기준 위반 내용을 확인하고 관할 지자체에 행정 처분과 수사 의뢰 요청을 하기로 했다.

 식약처는 진성푸드의 순대 제조시설이 비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해 해당 업체를 조사한 결과 이런 조처를 취한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관할 지자체는 행정처분을 내리고, 식약처는 3개월 이내에 다시 점검해 위반사항 개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식약처는 전날부터 이틀간 진성푸드에 대해 위생점검과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해썹·HACCP) 평가를 한 결과 '식품위생법',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사항을 다수 확인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우선 진성푸드의 순대 충진실 천장에 응결수가 맺힌 것 등 위생 기준 위반 사항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또 작업장 세척·소독 상태와 방충·방서 관리 등이 미흡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해썹평가에서 '부적합' 판정을 내렸다.

 이 밖에 식약처는 이 업체가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게 육수농축액'을 원료로 사용했음에도 제품에 관련 성분을 표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고, 39개 제품에 대해 판매 중단과 회수 조치를 내렸다.

 진성푸드의 순대 제품은 업체 자체 판매뿐 아니라 이마트, GS리테일 등 14개 식품유통전문 판매업체를 통해서도 판매됐는데, 식약처는 이들 판매업체에 대해서도 표시 규정을 위반 사실을 적발해 관할 관청에 행정처분을 요청했다.

 회수대상 제품은 ▲ 이마트 '찰진순대'(유통기한 11.3∼12.2) ▲ GS리테일 '리얼프라이스순대'(11.3∼12.2) ▲ 팍스페밀리 '김이박맛깔찰순대'(11.3∼12.2) ▲ 평화식품 '평화찰순대'(11.3∼12.2) ▲ 오늘의 간식 '착한느낌찰순대'(11.3∼12.2) ▲ 푸드스토리 '부추쌀떡순대'(11.3∼17) ▲ 윈플러스 '라임찰순대'(11.3∼12.2) ▲ 거성푸드 '신의주옛찰순대'(11.3∼12.12) ▲ 대광푸드 '순대'(11.3∼12.2) ▲ 디에이치종합상사 '분식이이래도되는가찰순대'(11.3∼12.2) ▲ 씨앤피물류 '무봉리특순대'(11.3∼12.2) ▲ 형네가게 '밀방떡찰순대'(11.3∼12.2) ▲ 도드람에프씨 '본래찰순대'(11.3∼내년 11.1) ▲ 신전푸드시스 '신전떡볶이찰순대'(11.3∼12.2) 등이다.

구체적인 회수대상은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위해·예방→회수판매중지)에서 볼 수 있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섭취를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KBS는 전날 연 매출 400억 원을 올리는 한 식품업체가 만든 순대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제조되고 있다며 관련 영상을 공개한 바 있다.

진성푸드는 이와 관련해 홈페이지 게시글을 통해 "방송 내용에 대해 "편파적인 편집과 터무니없는 억측"이라고 비판하며 "방송 내용은 과거에 근무했던 직원이 불미스러운 퇴사로 앙심을 품고 악의적인 제보를 한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갈등 당시 일부 의료계 인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하거나, 메디스태프와 같은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 "환자 죽어도 감흥 없다" "죽을 뻔한 경험 쌓여야 의사 존경한다"는 등 선 넘는 발언이 나온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