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항응고제 밀벡시안, 출혈 부작용 없어"

 새로 개발된 경구용 항응고제 밀벡시안(milvexian)이 다른 항응고제들과는 달리 가장 위험한 부작용인 내출혈 위험을 높이지 않는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와 얀센 제약회사가 개발한 밀벡시안은 혈액 응고를 억제하지만 출혈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효소인 11a 혈액응고 인자(XIa factor)를 억제한다.

 캐나다 맥매스터(McMaster) 대학의 제프리 웨이츠 의생명 과학(biomedical science) 교수 연구팀이 18개국에서 진행된 임상시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16일 보도했다.

 2019 6월에서 2021년 2월 사이에 진행된 임상시험에는 인공 무릎관절 치환 수술(knee replacement surgery) 환자 총 1천242명이 참가했다.

 이들에게는 매일 밀벡시안 100mg 이상 또는 기존의 항응고제 에녹사파린(제품명: 로베녹스)이 투여됐다.

 결과는 밀벡시안이 에녹사파린보다 혈액 응고에 의한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크고 부작용인 출혈 위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밀벡시안은 최소 용량 25mg에서 최대 용량 400mg까지 투여됐는데 어느 용량에서도 출혈 위험이 없었다.

 세계적으로 4명 중 한 명이 동맥 또는 정맥의 혈전 때문에 사망하고 있다. 혈전 예방과 치료에는 항응고제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항응고제는 출혈 위험을 높이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그래서 출혈 위험이 없는 안전한 항응고제 개발이 시급한 형편이다.

 심근경색, 뇌졸중, 심부정맥혈전, 폐색전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혈전을 막으려면 평생 항응고제 투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밀벡시안 같은 안전한 경구 항응고제가 나와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미국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 대학병원 심장실장 미첼 웨인버그 박사는 오랫동안 항응고제로 와파린이 사용돼 왔고 최근에는 리바록사반(자렐토), 아픽사반(엘리퀴스) 같은 새로운 항응고제가 나왔지만, 출혈 위험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밀벡시안은 혈액 응고는 막으면서 출혈 위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이 혈액응고 인자를 표적으로 하고 있어 기대된다고 그는 말했다.

 주이시 포리스트 힐스 병원 심장실장 마이클 고이프먼 박사는 이 임상시험 결과에 대해 조심스러운 낙관을 표하면서 내년 나올 예정인 3상 임상시험 결과가 기대된다고 논평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종이처럼 접히는 하이드로젤로 정교하게 약물 전달
한국연구재단은 서울과학기술대 윤현식 교수와 서울대 이원보 교수 공동 연구팀이 최근 하이드로젤 미세 기공을 종이접기처럼 설계해 팽창 시 정밀하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하이드로젤은 온도나 산도(pH) 같은 환경 자극에 따라 물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원리로 부피를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고, 생체적합성이 높아 의약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하이드로젤의 미세한 기공 구조를 이용하면 약물을 원하는 부위에 천천히 배출할 수 있지만, 반응 속도가 느리고 구조 변형이 불규칙해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기존 원형 기공 중심 구조는 팽창 시 작동 방향이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정량적 제어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종이접기 원리에 착안, 힌지(hinge·접힘)와 면을 하이드로젤 기공 가장자리에 도입해 팽창 시 정해진 방향으로 접히도록 유도하는 기공 구조를 설계했다. 외부 장치나 복잡한 제어 시스템 없이 기하학적 구조 설계만으로 하이드로젤의 작동 방향, 속도, 복원성 등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접힘 정도를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팽창·건조 사이클을 10차례 이상 수행한 후에도 초기 형태 대비 92%의 복원율을 유지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가짜내성 극복' 항암 치료제… 한계 뛰어넘을까
바이오 전문 기업 현대ADM바이오가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가짜내성' 극복 효과를 발표하면서 기존 항암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현대ADM은 지난 21일 서울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모회사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개발 중인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시험 등 비임상 자료 결과를 발표했다. 현대ADM은 췌장암 대상 시험에서 페니트리움의 가짜내성 극복 효과가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폐암, 유방암 등 난치성 고형암에 대한 페니트리움의 병용 치료 가능성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날 발표는 전임상 단계이기는 하지만 페니트리움 병용 치료가 가짜내성을 극복하고 췌장암 치료에 효과를 보인 것을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가짜내성이란 세포 저항성 때문이 아니라 약물이 종양 내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치료 실패로, 기존 항암제가 한계를 보이는 이유로 꼽혀왔다. 현대ADM은 이달 초 공개한 주주 서한에서 "말기 암 환자 대부분이 전이암으로 사망하며 이들은 암세포 때문이 아니라 방어벽, 즉 가짜내성으로 인해 치료받지 못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ADM이 4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