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버거·딸기…새해 식품물가 줄줄이 인상

스타벅스·동서식품, 7년 반만에 커피값 나란히 올려
버거킹·롯데리아도…딸기값, 평년 대비 70.5%↑

 새해 들어 식품업계가 원·부자재 비용 상승을 이유로 제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고 있다.

 7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 코리아는 오는 13일부터 일부 음료 46종의 가격을 100∼400원씩 인상한다.

 스타벅스의 음료 가격 인상은 2014년 7월 이후 약 7년 6개월 만이다.

 구체적으로 카페 아메리카노·카페 라떼·카푸치노 등 23종은 400원, 카라멜 마키아또·스타벅스 돌체 라떼·더블 샷 등 15종은 300원, 프라푸치노 등 7종은 200원, 돌체 블랙 밀크티 1종은 100원이 각각 인상된다.

 스타벅스는 "최근 급등한 원두 가격 등 각종 원·부재료와 코로나19로 인한 국제 물류비 상승 등 가격 압박 요인이 누적돼 음료 가격을 올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동서식품도 14일부터 커피 제품 가격을 평균 7.3% 올린다고 이날 밝혔다. 동서식품 역시 2014년 7월 이후 처음으로 커피값을 인상하는 것이다.

 '맥심 오리지날 170g' 리필제품은 5천680원에서 6천90원으로, '맥심 모카골드 커피믹스 1.2kg'은 1만1천310원에서 1만2천140원으로, '맥심 카누 아메리카노 90g'은 1만4천650원에서 1만5천720원으로 출고 가격이 각각 오른다.

 '콘푸라이트 600g' 등 시리얼 제품 출고가도 평균 9.8% 인상된다.

 동서식품 관계자는 "지난해 4월부터 급등한 국제 커피 가격과 코로나19 이후 상승한 물류비용, 주요 원재료 가격 등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햄버거 업계도 가격 인상에 합류했다.

 버거킹은 이날부터 버거류 25종을 포함한 총 33종의 가격을 평균 2.9% 올렸다.

 대표 메뉴인 와퍼(단품)는 6천100원에서 6천400원으로, 와퍼 주니어는 4천300원에서 4천400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버거킹 관계자는 "해외 생산·물류 대란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 최저임금 인상 등 제반 비용 상승으로 불가피하게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롯데GRS가 운영하는 롯데리아도 지난달 경영비용 증가를 이유로 제품 판매가격을 평균 4.1% 올렸다.

 이런 가운데 겨울철 인기 채소인 딸기 값도 최근 크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전날 기준 딸기 100g(상품)의 평균 소매가격은 2천602원으로, 한 달 전보다 27.1% 올랐다.

 이는 1년 전 같은 날보다는 54.8%, 평년보다는 70.5% 각각 상승한 것이다.

 올겨울 딸기 공급량이 줄어 가격이 올랐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지난해 가을장마가 잦아서 모종이 꽤 죽었고, 겨울철 고온 등으로 병해 피해도 커서 딸기 출하량이 감소했다"고 전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위염 건보급여 적용…10㎎ 용량 출시
대웅제약은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정'(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의 위염 적응증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를 획득하고 10㎎ 용량 제품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급여 확대로 연간 500만 명에 달하는 위염 환자들에게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회사가 전했다. 위염 환자들은 앞으로 약값의 30%만 부담하면 펙수클루를 처방받을 수 있다. 펙수클루는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차세대 위장질환 치료제로, 기존 PPI(프로톤펌프억제제) 제제가 가진 한계를 개선한 국산 34호 신약이다. 대웅제약은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이 빠르게 나타나 치료 초기부터 환자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며 식사 시간과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어 복약 순응도가 높고, 약효가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하루 한 번 복용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위염 시장 진입을 계기로 지난해 매출 1천억 원을 넘어선 펙수클루를 연 매출 1천500억 원 규모의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펙수클루의 위염 급여 적용은 500만 위염 환자들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높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