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패스에 갈 곳 잃은 노인들…70대 이상 스마트폰 보유율 38.3% 그쳐

QR 안 찍는 곳 찾아다녀…탑골공원 주변은 방역지침 '무용지물'

 "방역패스? 휴대전화도 없는데 그런 걸 어떻게 해. 그냥 내쫓지 않는 데 찾아 다니는 거지 별수 있나."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만난 김제만(73)씨는 거의 매일같이 이곳 공원으로 '출근 도장'을 찍는다고 했다.

 코로나19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 확인제)에 관해 묻자 김씨는 "불편함은 말해 뭐하겠느냐"며 "그런 거 하라고 하면 노인네들이 어떻게 다니겠느냐"고 언성을 높였다.

 스마트폰이 없는 김씨는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까지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접종 증명서 발급이 어렵고 복잡해 받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식당에 가서 일단 앉고 주인이 방역패스가 없다고 나가라 그러면 나오고, '그냥 드시라'고 하면 먹는다"고 말했다.

 최근 마트·백화점과 12∼18세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방역패스 시행을 중단시키는 법원의 가처분 결정이 잇따른 가운데,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은 방역패스 사용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다.

 방역패스 제도를 적용하는 대상이나 지역 등을 놓고 혼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노년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이 이 제도 자체를 수용할 준비가 돼 있는지를 두고도 의문이 지워지지 않는 것이다.

 공원 옆 거리에서 장기를 두는 사람들을 구경하던 이모(79)씨는 "예전엔 가끔 커피도 마시러 갔는데 지금은 가면 뭘 찍으라, 전화를 걸라, 시키는 게 많아 어지러워서 안 가게 된다"며 "추워도 밖에 있는 게 가장 속이 편하다"고 내뱉었다.

 스마트폰이 있는 노인들도 시시때때로 접종 이력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QR코드 시스템이 어렵게 느껴지기는 마찬가지라고 한다.

 조무일(80)씨는 "저번에 식당에 갔더니 QR코드를 안 찍으면 못 들어간다고 해 종업원에게 아예 휴대전화를 주고 알아서 좀 해달라고 했다"며 "우리 같은 사람들은 설명을 들어도 돌아서면 까먹는다"고 푸념했다.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이 주로 찾는 종로3가 일대 소규모 식당에서는 사실상 방역패스는 무용지물이었다.

 대다수는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안심콜을 사용했고, 여전히 수기명부를 작성하는 곳도 있었다. 수기명부조차 없는 점포도 여럿 눈에 띄었다.

 식당 입구에 수기명부를 마련해 놓은 한 자영업자는 "구청에 안심콜을 신청하려고 문의했더니 우리 가게는 무허가 점포라 안된다고 하더라"며 "어쩔 수 없이 수기명부를 쓰라고 하는데 나이 드신 분들이 많이 오시다 보니 사실 그마저도 잘 안 된다"고 털어놨다.

 낙원상가 지하에 있는 점포들도 정부의 방역지침이 유명무실한 건 마찬가지였다. 기자는 낙원시장 내 식당 10여곳을 발품을 팔아 살폈지만, QR코드를 확인하는 곳은 한 곳도 찾아볼 수 없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9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보유율은 국민 평균은 91.4% 수준이었으나, 70대 이상 노년층을 기준으로 할 경우 38.3%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처럼 QR코드 중심의 방역패스가 가진 한계가 대두되자 디지털 소외계층도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역패스 확인 방식을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고양시정연구은 '코로나19 방역패스 시스템 진단을 통한 안심콜 방역패스의 활성화 방안 제언' 보고서에서 "QR 체크인 기반의 방역패스 방식은 노인·장애인·어린이 등 정보 취약·디지털 소외계층에게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은 QR 체크인 방식의 보완 수단 및 대안으로 기존 안심콜에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역패스 기능을 결합한 '안심콜 방역 패스'를 제시했다.

 안심콜 방역패스는 방문자가 전화를 걸면 접종 여부를 알려주는 문자가 휴대전화로 전송돼 이를 업주에게 보내주는 방식으로 고양시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연구진은 "안심콜 방역패스는 정보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집단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방역패스 표준화 모델로 안심콜 방역패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치매 100만명시대…'어리석다' 뜻 담긴 용어 개정 논의 힘받을까
올해 치매 환자가 100만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21일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어리석다'는 뜻이 담긴 치매란 용어를 바꾸자는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22대 국회에는 법률상 치매란 용어를 인지저하증이나 뇌 인지저하증, 인지증, 신경인지장애 등으로 바꾸자는 내용의 치매관리법 개정안 4건이 발의돼 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의 뇌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기능이 저하돼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한자로 '어리석을 치(癡)'와 '어리석을 매(呆)' 자를 쓴다. 이런 부정적인 단어가 환자와 가족에게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조기 발견과 적기 치료에도 방해가 되는 만큼 보다 가치 중립적인 단어로 명칭을 바꾸자는 게 법안들의 취지다. 법률상 용어가 바뀌면 치매안심센터 등의 기관명과 각종 정부 사업의 명칭도 바뀌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치매란 용어는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편견을 유발하므로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2023년 전문가와 환자 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치매용어 개정협의체'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실제 개정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당시 협의체는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화학물질·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건강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렇다면 건강하지 않은 식품이란 무엇일까? 바로 식품에 여러 첨가물이 들어간 것이다. 건강하지 못한 식품일수록 첨가물이 많으며, 그 첨가물은 전부 다 화학물질로 이뤄져 있다. 독자 여러분은 식탁에 놓인 여러 가지 음식물을 먹게 되는데, 거기에 화학물질이 대단히 많다. 물론 아주 적은 양을 한두 번 혹은 짧은 기간만 복용하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장기간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좋지 않다. 요즘은 식품을 많이, 그리고 오래 팔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물을 사용한다. 첨가물은 식품에 특정한 맛을 내거나 부패를 방지하고 보기 좋게 하기 위해, 또는 생산 비용을 줄이거나 식품을 쉽게 만들기 위해 쓴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식품첨가물은 방부제다. 방부제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부패나 변질을 방지해 식품의 저장 기간을 늘리는 목적으로 쓰였다. 고추장, 된장, 단무지, 햄, 치즈, 초콜릿, 청량음료 등 대개 모든 보존식품에 방부제가 들어간다. 산화로 인한 식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저장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산화방지제, 식품에 특정 색소를 더하거나 복원하는 데 사용하는 착색제, 맛이나 향미를 증진하는 향미증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