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낫지 않는 세균 감염 이유 있다...세균의 환경 스트레스 적응

미국 유타대 연구진, 저널 '핵산 연구'에 논문

 혈액에서 걷잡을 수 없이 염증이 진행되는 패혈증은 보통 염증보다 치료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

 요로감염증도 치료가 까다로운 감염 질환으로 꼽힌다.

 박테리아는 인체에 감염하자마자 전혀 다른 환경에서 극심한 스트레스에 직면한다.

 체내 환경에 염분이 많거나 강한 산성인 경우 박테리아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아직 내성이 생기지 않은 항생제가 투여되면 그것도 세균 입장에선 큰 스트레스 요인이다.

 이런 스트레스 요인이 세균의 생존에 필요한 주요 경로 가운데 어느 하나만 차단해도 세균 전체가 소멸할 수 있다.

 그렇다면 패혈증이나 요로감염증을 일으키는 세균은 어떻게 이런 스트레스 요인들을 이겨내는 걸까.

 감염성 세균이 숙주 내의 환경 스트레스에 신속히 적응하는 메커니즘을 미국 유타대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이 메커니즘은 세균이 숙주 세포 내에서 필요한 단백질을 만드는 걸 교란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세균이 숙주 세포 내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종의 환경 적응인 셈이다.

 이 발견은 끈질긴 세균도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는 새로운 항균제나 백신 개발의 표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매슈 멀비 병리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부가 발행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24일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유전자가 각각 한 종류의 단백질 생성 코드를 가졌다는 건 생물학의 기본 원리(dogma) 중 하나다.

 일례로 운반 RNA(tRNA)는 각 유전자 고유의 코드를 보고 모든 단백질이 제대로 생성되는지 감독한다.

 그런데 세포 안팎의 스트레스가 심할 땐 tRNA가 매개하는 단백질 생성 절차에 무작위적인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세균과 같은 생명체의 번성에 도움이 되는 신종 단백질이 이런 변화를 통해 간단히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는 약간의 소음(noise)이 좋을 수도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과학자들은 말했다.

 MiaA라는 세균 효소를 우연히 발견한 것이 돌파구가 됐다.

 숙주 내 환경 스트레스에 민감히 반응하고 세균의 단백질 발현 조절에도 핵심 역할을 하는 효소였다.

 유전자 조작 생쥐 모델로 실험한 결과, MiaA 결핍 세균은 어떤 유형의 스트레스에 노출돼도 문제를 일으켰다.

 MiaA 결핍 세균은 잘 자라지 못할 뿐 아니라 패혈증이나 요로감염증을 일으키지도 못했다.

 흥미롭게도 MiaA가 과도히 발현하는 세균에게 똑같은 일이 벌어졌다.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매슈 블랑코 박사는 "세균의 스트레스 반응을 최적화하는 MiaA의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이 존재하는 거 같다"라고 말했다.

 '골디락스 존'은 천문학에서 쓰는 용어로 지구와 유사한 조건을 갖춰 물과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항성 주변 구역을 말한다.

 MiaA 발현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면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

 MiaA를 아예 제거하면 DNA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뉴클레오티드가 부가되거나 결실되는 이른바 '프레임 시프팅'(frameshifting) 현상이 무작위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운반 RNA가 'cat cat gta'라는 유전자 코드를 옮길 때 'atc atg tag'로 읽히는 것과 같은 신호 교란이 벌어졌다.

 세균에게 프레임 시프팅이 생기면 주요 단백질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고 엉뚱한 단백질이 만들어졌다.

 또 MiaA의 발현도가 변함에 따라 세균의 스트레스 반응 경로에 쓰이는 대사물질의 활용 가능성도 달라졌다.

 세균의 스트레스 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로망'(web of pathways) 내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게 MiaA라는 의미다.

 멀비 교수팀은 특정 유형의 암이나 대사질환에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인간 버전(version)의 MiaA도 확인했다.

 논문의 교신저자를 맡은 멀비 교수는 "세균의 MiaA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배우는 것이 암과 비감염 질환 연구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라고 밝혔다.

 멀비 교수팀은 숙주 세포의 환경 스트레스가 어떻게 세균의 MiaA 수위를 바꾸는지 밝히는 걸 다음 연구 목표로 잡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