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이후 당뇨병에 잘 걸리는 이유는?...'인슐린 내성' 때문

에너지 많이 필요한 암 종양, 인슐린 분비 기능 망가뜨려
'세포외 소포'에 담은 마이크로 RNA로 췌장섬 공격
미국 UCSD 연구진, 저널 '네이처 세포 생물학'에 논문

 언뜻 보면 유방암과 당뇨병은 공통점이 전혀 없는 별개의 병 같다.

 하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모를 뿐 연관성을 의심할 만한 연구 결과는 적지 않게 나왔다.

 두 질병은 모두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나라에서 빠른 증가세를 보인다.

 미국에서 유방암은 두 번째로 많이 진단되는 악성 종양이다. 미국 여성은 8명 중 1명꼴로 침윤성 유방암에 걸린다.

 미국에선 당뇨병 발병률도 매우 높다.

 당뇨병을 앓고 있는 미국인이 전체 인구의 10%를 넘고, 건강한 사람도 5명 중 2명꼴은 이 병에 걸릴 거로 예측된다.

 또 당뇨병을 가진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에 걸린 위험이 많게는 27%가량 높은 거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주요 특징인 '인슐린 내성'(Insulin resistance)이 유방암 발병과 낮은 생존율의 주범으로 꼽힌다.

 주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나타나는 인슐린 내성(또는 '인슐린 저항')은 인슐린의 기능 저하로 혈액 내 포도당 균형이 깨지는 걸 말한다.

 인슐린 내성이 생기면 췌장 베타세포에 과부하가 걸려 인슐린 생성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반대로 유방암 진단을 받은 여성이 장기 생존할 경우 2년 뒤부터 당뇨병 위험이 커지는 거로 보고됐다.

 이런 여성이 10년 뒤까지 살아남으면 같은 연령의 비 유방암 여성보다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20% 높다.

 유방암과 당뇨병의 이런 연관성에 어떤 생물학적 메커니즘이 관여하는지를 미국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이 메커니즘은 양방향으로 작용했다.

 다시 말해 유방암이 인슐린 생성을 억제해 당뇨병을 유발하는 과정뿐 아니라, 혈당 조절 기능이 손상돼 암 종양의 성장을 촉진하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의대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달 30일 저널 '네이처 세포 생물학'(Nature Cell Biology)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쓰이첸 에밀리 왕 병리학 교수는 "유방암 세포가 어떻게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기능을 손상하고 인슐린 생성을 줄이는지 밝혀냈다"라면서 "유방암에 걸린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혈당치가 높아지는 이유"라고 말했다.

 이 메커니즘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건 암세포가 분비하는 '세포외 소포'(extracellular vesicles)였다.

 약칭 'EV'로 통하는 세포외 소포는 세포간 물질 교환 시스템의 중심이다. 한 세포의 DNA, RNA, 단백질, 지질 등이 이 소포에 담겨 다른 세포로 전달된다.

 유방암 세포가 마이크로 RNA-122를 소포에 담아 방출하는 게 문제의 발단이었다.

 암세포에서 이탈한 소포는 혈액을 타고 췌장까지 이동한 뒤 랑게르한스섬에 들어가 화물(마이크로RNA-122)을 풀었다.

 이렇게 되면 인슐린을 분비해 혈당 수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랑게르한스섬의 기본 기능이 손상됐다.

 암세포의 이런 행동은 단것을 좋아하는 성향에서 비롯된다.

 암 종양이 빠르게 성장하려면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정상 세포보다 훨씬 더 많이 써야 한다.

 작은 종양을 찾아내는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법) 검사는 암세포의 이런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유방암 종양이 랑게르한스섬을 망가뜨려 혈당치를 높이는 목적은, 암세포가 포도당을 더 많이 이용하게 돕는 것이다.

 하지만 암 종양의 이런 책동은 정상 세포에 꼭 필요한 영양분을 가로채는 것이다.

 연구팀은 포도당 저하 작용을 하는 'SGLT2 억제제'라는 실험 약을 유방암이 생긴 생쥐 모델에 투여해 봤다.

 그랬더니 혈당 조절 기능이 정상화되면서 종양의 성장도 억제됐다.

 왕 교수는 "(임상 시험에 성공하면) 유방암 치료에 이 약을 쓸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SGLT2 억제제는 마이크로 RNA를 기반으로 개발된 약 가운데 처음으로 현재 임상 시험 중이라 고 연구팀은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