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유전체의 '자폭 스위치'로 슈퍼버그 잡을 수 있을까

레트론 유전자, 바이러스 침입하면 독소 풀어 스스로 성장 억제
세균 콜로니 바이러스 확산 차단…다제내성균 약점 될 수도
유럽 분자 생물학 연구소, 저널 '네이처'에 논문

 세균의 레트론(Retron) 유전자는 1980년대에 처음 발견됐다.

 이 유전자의 암호로 생성되는 역전사효소는 정체불명의 RNAㆍDNA 혼합 분자를 만들어낸다.

 특이하게도 이 유전자는 세균에 감염하는 바이러스, 즉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약칭 '파지')에서 많이 발견된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레트론이 무슨 일을 하는지 잘 몰랐다.

 오래 세월 베일에 싸여 있던 레트론 유전자가 박테리아의 유전체에 내장된 '자폭 스위치'에 관여한다는 걸 유럽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이 분자 스위치는 세균 무리에 바이러스가 퍼지는 걸 차단하는 역할을 했다.

 이 스위치는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버그'(다제내성균)의 치명적 약점이 될 수 있어 주목된다.

 '유럽 분자 생물학 연구소'(EMBL)의 아타나시오스 티파스 박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18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시스템 생물학자인 티파스 박사는 현재 EMBL 유전체 생물학 유닛(연구 그룹)의 리더를 맡고 있다.

 세균의 유전체엔 수백 종의 독소ㆍ항독소 시스템이 들어 있는 거로 알려졌다.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들 시스템은 파지를 억제하는 데 쓰일 거로 추정된다.

 레트론의 암호로 생성되는 역전사효소는 '작은 RNA'(small RNA )를 형판으로 삼아 '다중 복사 외가닥 DNA'(msDNA)를 만들어낸다.

 세균에게 레트론이 필요한 이유가 오랫동안 밝혀지지 않은 건 이 유전자나 msDNA가 결여됐을 때 나타나는 '표현형'(phenotype)이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다.

 티파스 박사팀은 2020년 6월 중요한 실마리가 되는 표현형을 살모넬라균에서 처음 발견했다.

 병원성 세균인 살모넬라는 낮은 온도에서 msDNA가 없으면 잘 자라지 못했다.

 msDNA를 만들지 못한 살모넬라균은 산소 결핍에 민감해져 암소(cow)의 장에서 콜로니(菌落)를 형성하지 못했다.

 언뜻 봐도 레트론은 여러 세균 유전체에서 발견되는 독소ㆍ항독소 시스템과 비슷했다.

 이 시스템은 옆에 붙어 있는 두 개의 유전자로 구성된다.

 한 유전자가 세균의 성장을 막는 독소의 합성 암호를 가지면, 바로 옆의 유전자는 항독소 암호를 갖고 있다.

 이처럼 정반대로 작용하는 두 개의 유전자가 공존해도 세균은 아무 일 없이 성장한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든 항독소가 제거되면 독소가 활성화해 세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msDNA를 생성하는 레트론 역전사효소를 차단하면 독소가 활성화해 세균의 성장을 막았다.

 이는 msDNA가 역전사효소와 함께 새로운 종류의 항독소, 즉 성장 억제 복합체를 생성한다는 걸 시사했다.

 연구팀은 수천 개의 세균 유전자를 하나하나 높은 수위로 발현하게 한 뒤 어떤 게 스위치 역할을 하는지 살펴봤다.

 이 작업엔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생물정보학 등의 첨단 기술이 총동원됐다.

 이런 과정을 거쳐 바이러스 단백질이 어떻게 이 메커니즘의 스위치를 조작하는지 드러났다.

 알고 보니 레트론은 세균 콜로니에 침입한 바이러스의 확산을 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이러스에 처음 감염된 세균의 레트론 스위치가 켜져 성장이 억제되면 동시에 바이러스의 증식도 차단됐다.

 처음 감염된 세균이 스스로 성장을 포기함으로써 콜로니 전체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걸 막았다.

 바이러스는 자기 힘으로 입자를 증식하지 못해 숙주(여기선 세균)의 복제 기계를 가로채야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균 감염을 바이러스로 치료하는 '파지 치료법'(phage therapy) 개발에 기여할 거로 보인다.

 특히 세균의 '독소 활성·억제 접합'(TAC/TIC) 체계를 분명히 밝혀낸 부분은 주목할 만한 성과다.

 티파스 교수는 "박테리아 자살 시스템의 작동 스위치를 상세히 알아내면, 외부에서 독소를 활성화해 세균을 죽이는 촉매제도 개발할 수 있다"라면서 "다제내성균에 쓸 만한 항생제가 마땅하지 않은 현실을 생각하면 이런 전략의 실행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