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 "365일 뇌졸중 치료체계 구축해야"

"간호사 사망 유사 사례 비일비재…저수가·인력부족 해결 필요"

 대한뇌졸중학회는 서울아산병원 간호사가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져 숨진 사건에 대해 4일 입장문을 내고 "안타까운 사고가 또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하려면 24시간 365일 작동하는 뇌졸중 치료체계를 하루빨리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회는 이번 사건이 골든타임인 3시간 이내에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뇌졸중 치료체계가 부재한 데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분석했다.

 학회는 "그동안에도 이번 사망 사건과 비슷한 사례가 비일비재했지만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라며 "현재 전국에서 뇌졸중 집중치료실을 갖춘 병원은 42.5%에 불과하고, 전국 응급의료센터 중 30% 이상이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면 ▲ 24시간, 365일 작동하는 뇌졸중 치료체계의 구축 ▲ 119, 응급실, 지역센터, 권역센터에 이르는 치료 구성요소의 연계 ▲ 만성적인 저수가 및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다는 게 학회의 주장이다.

 학회는 "무엇보다 전국에 충분한 숫자의 뇌졸중 치료 권역센터를 확보하고 권역센터에서는 24시간 365일 치료체계가 상시 작동하도록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면서 "특히 뇌졸중 응급진료를 감당해야 하는 전공의 숫자를 늘려 전문의 당직근무로 당장의 어려움을 피하려는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