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뚫는 행위 일상화 처럼 '눈썹 문신'도 의료행위 아냐…40대 미용사 1심서 무죄"

 미용 목적의 반영구 화장 시술을 무면허 의료행위로 볼 수 없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청주지법 형사5단독 박종원 판사는 의료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미용사 A(43)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7일 밝혔다.

 A씨는 2014년 6월부터 5년여간 자신이 운영하는 청주시 흥덕구 미용학원에서 눈썹, 아이라인, 입술 등을 바늘로 찔러 색소를 입히는 반영구 화장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재판부는 반영구 화장 시술의 경우 의사 면허를 취득하지 않은 사람이 시술한다고 해서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정도의 어려운 시술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박 판사는 "해당 시술은 색소를 묻힌 바늘로 피부를 아프지 않을 정도로 찌르는 단순한 기술의 반복으로 고도의 의학적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의료행위로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

 그러면서 "귀걸이용 귀를 뚫는 행위가 일상화된 것처럼 해당 시술도 한정적인 의학지식과 기술만으로도 가능해 보인다"며 "염료 등으로 인한 부작용은 해당 물질의 생산 유통과정에서 다뤄야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제약·바이오, 양자 보안기술 선제 도입해 정보보호 강화해야"
제약·바이오 업계가 정보 보호를 위해 양자 보안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 6대 테크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양자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암호 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0 또는 1의 '비트'로 정보를 처리하는 일반 컴퓨터와 달리 양자 컴퓨터는 0과 1이 동시에 존재하는 중첩·얽힘 상태인 '큐비트'를 활용한다. 이에 양자 컴퓨터는 일반 컴퓨터로는 불가능한 막대한 양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암호 해독이 가능한 '암호 관련 양자 컴퓨터'(CRQC)는 기업 기밀 정보를 해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문가 측은 CRQC가 10년 안에 현실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신약 관련 첨단 기술이나 의료 데이터가 사업 영위의 핵심인 제약·바이오 기업은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크다. 보고서는 양자 내성 암호로의 전환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양자 내성 암호는 소인수분해, 이산대수 등을 활용하는 기존의 공개키 기반 암호보다 더 복잡한 수학적 문제를 기반으로 해 양자 컴퓨터로도 해독하기 어렵다. 심박조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