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감영재생산지수 1에 근접…겨울 재유행 정체 이어질까

신규확진 사흘째 전주 대비 감소…감염재생산 수준 겨울 재유행 최저치
코로나19 위험도 5주째 '중간' 유지, 중환자 병상 가동률 32%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1주일 전보다 줄어드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향후 유행세를 가늠할 수 있는 감염재생산지수가 낮아져 1에 근접하면서 정체세가 이어지거나 감소세로 전환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8일 이후 이날까지 사흘째 1주일 전 대비 감소했다.

 28일과 29일, 30일 각각 1주일 전 대비 750명, 1천384명, 2천891명 줄어들며 감소 폭이 커지고 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10월3주(10월16~22일) 이후 6주째 1을 넘었지만 점차 낮아지면서 11월 4주(11월 20~26일)에는 1.01로 1에 근접했다.

 이는 올겨울 7차 유행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10월 3주 이후 감염재생산지수는 1.09→1.17→1.21→1.10→1.10→1.01이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11월 4주 일평균 확진자 수는 5만3천973명으로, 11월 3주의 5만2천429명보다 1천508명 소폭 늘었다.

 1주일 전 대비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18~22일 마이너스(-)였다가 23~27일 닷새간은 다시 플러스(+)로 돌아섰다. 이후 재차 상황이 바뀌어 이날까지 사흘간은 1주일 전보다 신규 확진자 수가 적었다.

코로나 겨울 재유행 정체 이어질까…감염재생산지수 1에 근접 - 2

 감염당국이 향후 유행세 전망에 대해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이번 유행의 정점이 시작됐다는 전망도 나온다.

 방역당국은 이날 코로나19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에 대해 '중간'으로 평가했다. 10 월 4주 이후 5주째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방대본은 "신규 및 재원 위중증 환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전국 기준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3주 연속 30%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11월 4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15.3% 증가한 460명이었다. 이 기간 일평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8.8% 감소한 49명으로 집계됐다.

 전국 기군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32.0%로 직전주보다 0.1%p 낮아졌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도 3%p 하락해 44.2%를 기록했다.

 그동안 유행에서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해 세력을 넓히는 과정에서 확진자 수가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유행에서는 이런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기존 우세종인 BA.5 변이의 점유율(해외유입 포함)은 77.5%로 직전주보다 2%p 줄었지만, 감소폭이 미미했다. BF.7(1.7%→2.6%), BQ.1.1(3.1%→3.8%), BA.2.75(1.8→3.9%) 등이 점유율을 늘렸지만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