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1등급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와 관상동맥 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

 심평원은 말기 신장질환의 주요 원인 질환인 당뇨병과 고혈압이 늘어나면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가 증가해 환자의 삶의 질과 사망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혈액투석 관련 의료서비스에 대한 질 향상을 위해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이번 평가는 혈액투석을 하는 954개 의료기관에서 2020년 10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주 2회 이상 혈액투석을 한 만 18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일산병원은 총 12개 지표로 된 평가에서 종합점수 97.9점(전체 평균 84.5점)으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또 관상동맥 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는 4회 연속 1등급을 획득해 심장혈관 수술을 잘하는 병원임을 입증했다.

 관상동맥우회술은 급성심근경색, 협심증과 같은 허혈 심질환 환자의 좁아진 관상동맥을 대체할 수 있는 혈관을 연결해 심장에 혈류를 공급하는 수술이다.

 김성우 일산병원장은 "앞으로도 환자 안전과 의료 질 향상에 최선을 다하며 모든 국민이 더욱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