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가 노화 방지와 장수에 효과"

오클랜드대학 연구진, 유방암 치료제로 생쥐 실험…"골밀도 저하 등 부정적 결과도"

 암 치료에 쓰이는 약이 노화 방지와 장수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뉴질랜드 연구진이 밝혔다.

 24일 뉴질랜드 언론에 따르면 오클랜드대학 연구진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런 사실을 알아냈다며 부작용만 없앨 수 있다면 노화 방지의 꿈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유방암 치료제로 쓰이는 알펠리십을 생쥐로서는 중년이라고 할 수 있는 생후 1년부터 투여했더니 수명이 평균 10% 늘어나 3년 정도 살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연구에서 건강한 생쥐들에게 관리식단에 따른 먹이와 이와 똑같지만 피크레이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알펠리십이 포함된 먹이를 먹였다.

 그 결과 알펠리십이 들어간 먹이를 먹은 생쥐들은 평균적으로 오래 살 뿐 아니라 같은 또래 생쥐들보다 훨씬 건강하고 힘과 운동 능력 등 모든 면에서 활기찬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PI 3-키나아제라는 효소 억제제인 알펠리십이 생쥐 실험에서 노화 방지와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됐지만, 골밀도 저하 등 부정적인 면도 나타냈다고 밝혔다.

 연구진의 피터 셰퍼드 교수는 대사경로를 활성화하는 인슐린 등 많은 호르몬에 장기간 노출되면 나쁜 결과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대사경로를 억제하면 암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에서도 좋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자신들의 실험 결과 그것이 생쥐들에게 전적으로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대사경로가 뼈 성장 등에도 매우 중요한데 우리들의 연구에서 약이 생쥐의 경우 골밀도를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어떤 면에서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다른 면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걸 의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