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성 뇌 손상, 장기적인 사망 위험과 연관 있다"

 외상성 뇌 손상(TBI: traumatic brain injury)은 장기적인 사망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진탕이라고 불리는 외상성 뇌 손상은 스포츠 부상, 교통사고, 낙상, 병영 내 사고 등이 원인이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홀리 엘저 교수 연구팀은 뇌 외상을 겪은 사람은 장기적으로 뇌 외상을 겪지 않은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크며 뇌 외상의 빈도와 중증도(severity)에 따라 사망 위험은 더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으로 1987년에서 2019년 사이에 '지역사회 동맥경화 전향적 연구'(ARIC: prospectiv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에 편입된 1만3천37명(평균 연령 54세, 백인 72.1%, 흑인 27.9%, 여성 57.7%)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중 2천402명(18.4%)은 조사 기간(평균 27년)에 최소한 한 차례 이상 외상성 뇌 손상을 겪었다. 그중 512명은 두 번 이상 뇌 손상을 겪었다.

 전체적으로 이른 나이에 외상성 뇌 손상을 겪은 사람은 뇌 외상을 겪지 않은 사람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거의 2배(9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차례 뇌 외상을 겪은 사람은 사망률이 뇌 외상이 없었던 사람보다 66%, 2차례 이상 뇌 외상을 겪은 사람은 2.11배 높았다.

 또 가벼운 뇌 외상을 겪은 사람은 사망 위험이 2.16배, 뇌 외상이 중등도(moderate)이거나 심한 사람은 2.87배 높았다.

 전체 연구 대상자 중 7천353명(56.4%)이 조사 기간에 사망했다. 뇌 손상을 겪은 사람 중에서는 1천552명(64.6%)이 사망했다. 뇌 손상과 사망 사이의 평균 기간은 4.7년이었다.

 사망 원인은 암, 심혈관 질환, 신경 질환이 기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중 신경질환 비율만 보면 뇌 외상 전력이 있는 사람이 62.2%, 뇌 외상 전력이 없는 사람이 51.4%였다.

 신경질환 중에서 신경 퇴행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뇌 손상 전력이 있는 사람이 14.2%, 없는 사람은 6.6%였다.

 이 결과는 뇌 외상을 겪은 사람은 기본적으로 사망률이 높고 뇌 외상 자체가 사망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외상성 뇌 손상은 1차적 손상과 2차적 손상으로 나누어진다.

 1차적 손상은 뇌 조직의 왜곡(distortion)과 파괴이고 2차적 손상은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기능 장애, 뇌 용적이 증가하는 뇌부종(edema), 신체의 조직이나 장기로 가는 혈액 공급이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가 되는 허혈(ischemia), 두개 내 고혈압(intracranial hypertension) 등이다.

 혈뇌장벽이란 뇌혈관 벽에 특수 세포와 물질들이 밀집해 마치 '지퍼'(zipper)처럼 단단하게 조여진 곳으로 중요한 영양소만 선택적으로 뇌로 들여보내고 해로운 물질은 차단하는 한편 뇌의 노폐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신경학'(JAMA Neur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