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강제동원 판결 수용 못한다'는 일본에 한마디도 못한 정부

업종·국적 넘어 세대도 가르자는 '최저임금 차등화' 멈추라

변화 의지 없는 윤 대통령, 남은 3년도 국민과 싸울 건가

소통·협치 약속한 윤 대통령, 실천이 중요하다

▲ 서울신문 = 여야, 퍼주기 총선 공약 옥석 가려 추진을

美 반도체 드라이브, 우리도 주도권 잃지 말아야

"더 낮은 자세로"… 당정, 소통으로 국정과제 추진을

▲ 세계일보 = "한국은 파트너"라면서 과거사 입장 고수한 日의 이율배반

기대 못 미친 尹 대통령 반성 메시지…소통 방식부터 바꿔야

세월호 참사 10년 됐는데도 나아진 게 없는 안전불감증

▲ 아시아투데이 = 총선참패 수습 대신 막말 집안싸움 곤란하다

尹 대통령, 야당과 구체적 소통 보여줘야

▲ 조선일보 = 정의 버리고 민주당과 야합했다가 몰락한 정의당

K반도체 주력 생산 기지, 미국으로 옮겨갈 수도

국민 앞 아니라 비공개 자리서 "죄송" 말했다는 대통령

▲ 중앙일보 = 공인전문검사 벨트가 전관예우 자격증처럼 악용돼서야

윤 대통령은 총선 민의를 제대로 깨닫고 있나

▲ 한겨레 = 공기업 감사에 검찰 수사관 줄줄이 임명

미-일 동맹 중요할수록, 일본 더 분명한 역사인식 필요

'국정방향 옳다'는 대통령, 그럼 국민이 바뀌어야 하나

▲ 한국일보 = 환율 1400원까지… 물가·외화빚 비상 등 켜졌다

총선 참패 일주일 지나도 절박함도 위기감도 없는 여당

변화 안 보이는 윤 대통령, 협치 바라는 민심 안 들리나

▲ 글로벌이코노믹 = 중국 부동산 침체발 지방은행 위기

반도체 보조금 경쟁 치열한 이유

▲ 대한경제 = PF사업장 재평가 기준… 건설업계 수긍할 수 있어야

'용산이 안 바뀌었다' 확인시킨 尹의 총선 평가

▲ 디지털타임스 = 美서 막 올린 파운드리 삼국지… 삼성 끌고 정부 밀어 대반전을

尹, 소통의지 천명 앞서 소통방식부터 완전 뜯어고쳐야

▲ 매일경제 = '스드메' 비용 공개 추진…예비부부 울리는 폭리 행위도 엄단을

내년 만기 국고채 104조 돌파, 與野 건전재정 실천 나서야

'반성과 소통' 밝힌 尹대통령, 행동으로 보여주길

▲ 브릿지경제 = 세컨드 홈 정책, 실효성 확보 쉽지 않다

▲ 서울경제 = 北 사이버 공격 하루 161만건, 민관군 선제적 방어망 구축해야

尹 "더 소통·경청"…야당·언론 만남과 통합형 인사로 실천에 나서라

글로벌 반도체·AI 전쟁…투자·인재 유치전서 거꾸로 가는 한국

▲ 이데일리 = 불붙은 AI 반도체 전쟁, 초격차 기술에 사활 걸어야

민생 강조한 尹 대통령, 총선 민심이 원한 게 이뿐일까

▲ 이투데이 =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불확실성…안전띠 매야

▲ 전자신문 = WIS 2024, AI 혁신 출발점 되길

▲ 파이낸셜뉴스 = 美 삼성 파격 대우와 대비되는 우리 현실

낮은 자세로 국민과 소통하고 野에 협력 구해야

▲ 한국경제 = MZ세대의 우려스러운 기업가정신 위축

구조조정 몰아치는 저축은행, 신뢰 회복이 관건

尹 "낮은 자세로 민심 경청" … 소통 채널도 쇄신해야

▲ 경북신문 = 2024 LCK 서머 결승전 유치 환영한다

▲ 경북일보 = 울진 신한울 3·4호기 건설 허가 서둘러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년 6개월만에 돌아온 의대생, 첫 수업은 '설렘반, 걱정반'
"어젯밤 병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떨려서 잠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병원 내 글로컬임상실증센터. 최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휴학했던 의대생이 속속 학업에 복귀하는 가운데 이날 부산대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의 복귀 이후 첫 임상 실습 수업이 열렸다. 하얀 의사 가운을 입고 목에 청진기를 맨 학생 3명은 다소 어색한 표정으로 담당 교수와 함께 수업에 들어갔다. 부산대 의대 본과생들은 3∼4명씩 조를 나눠 지도교수의 감독 아래 외래, 병동, 수술실 등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수술실을 재현한 실습실에서 본과 3학년 송모(26)씨가 기도 삽관에 도전했다. 송씨가 환자 모형의 기도를 확보한 뒤 동기에게서 튜브를 건네받아 기관 안에 삽입했다. 이어 그럴듯한 모습이 완성되자 학생들이 기관 내 삽입한 튜브에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해 여러 차례 눌렀다. 시술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부풀어야 할 폐 모형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를 본 부산대 의대 부학장인 이정규 가정의학과 교수가 "이 경우 기도삽관이 잘못된 것이죠"라고 설명했다. 학생이 머쓱한 표정을 짓자 이 교수는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다"며 "다만 응급 환자에게는 바로 적용해야 하는 시술이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