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19년간 9억명 싣고 지구 둘레 1만5천바퀴 돌았다

국민 1인당 19번 탄 셈…8개 노선 누적 운행거리 5억9천만㎞

  2004년 4월 1일 개통한 고속열차 KTX가 지난 19년 동안 9억6천만명을 실어 나른 것으로 집계됐다.

 5천만 국민 1인당 19번 이상 탄 셈이다.

 31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KTX는 전국 8개 노선을 누비며 지구 둘레(4만㎞) 1만5천바퀴와 맞먹는 5억9천만㎞를 달렸다.

 개통 첫해 경부와 호남 2개 노선 20개 역에만 다니던 KTX는 현재 전국 67개 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루 운행 횟수는 주말 기준 364회(KTX 284회·KTX-이음 80회)로, 개통 초기 132회에서 세 배 가까이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았던 코레일은 이달 기준 KTX 하루 이용객이 22만명을 기록해,  코로나19 확산 이전 하루 19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22만명은 개통 초기 7만명의 3배가 넘는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 하루평균 15만명이던 KTX 주말 이용객 수도 올해 26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철도 이용객 중 KTX 이용객 비율은 2004년 18%에서 2014년 42%, 지난해 58%로 해마다 늘었다. 10명 중 6명이 KTX를 선택하는 것이다.

 코레일톡 등 비대면·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열차 승차권 자가 발권 비율은 지난해 기준 88.2%에 달한다. 10명 중 8명은 코레일톡(80.9%)에서 승차권을 구매하고 있다. 역 창구 발권 비율이 85%였던 2004년과는 정반대다.

 코레일은 다음 달 1일 KTX를 탄 코레일 멤버십 회원 중 2천4명을 추첨해 'KTX 운임 30%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등 사은 행사를 벌인다.

 고준영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KTX가 대표 교통수단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응원해주신 국민의 사랑과 성원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최고의 여행 파트너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결정 과정 세포 수준서 규명…생쥐 전체 뇌 활동지도 완성"
특정 의사결정을 할 때 뇌세포 하나하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생쥐의 전체 뇌 활동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분석 결과 뇌가 정보를 단계적으로 처리한다는 전통적인 위계적 관점과 달리 의사결정이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뇌 여러 영역에 분산돼 동시에 정교하게 조율된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유럽의 대학과 연구기관 12곳으로 구성된 국제 뇌 연구소(IBL) 연구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2편의 논문에서 생쥐가 의사결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탐침으로 뉴런 활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체 뇌 활동 지도를 만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IBL 공동 창립자인 스위스 제네바대 알렉상드르 푸제 교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일 뉴런 활동을 뇌 전체 차원에서 지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50만개가 넘는 뉴런의 활동을 기록한 이 지도는 생쥐 뇌 279개 영역, 뇌 전체 용적의 95%가 담긴 방대한 규모"라고 말했다. 2017년 공식 출범한 IBL은 여러 연구실에서 동일한 도구와 데이터 처리 과정을 공유하는 새로운 협업 모델을 도입해 데이터 재현성을 확보했다. IBL 12개 연구실은 최신 전극 장치인 '뉴로픽셀 탐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