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실 운영 시 연간 5억 지원에도 안성 산부인과들 "여력 없어"

최근 '분만 취약지' 지정…병의원 난색으로 원정 출산 이어질 듯

  2년 넘게 '원정 출산'이 이어지고 있는 경기 안성시에 분만실 운영 산부인과에 연간 5억원의 운영비 지원 길이 열렸으나 산부인과들은 여전히 분만실 운영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1일 '2023년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 지침'을 통해 전국 108개 시·군을 분만 취약지로 지정했다.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가 2021년 말 폐업한 후 2년 넘게 인근 지역 병의원으로 원정 출산이 이어지고 있는 안성시도 이번에 처음으로 분만 취약지에 포함됐다.

 분만 취약지로 지정된 곳에서 산부인과 병의원이 분만실을 운영하면 연간 국비 2억5천만원과 지방비 2억5천만원 등 5억원의 운영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에 안성시는 지난달 24일 관내 산부인과 진료를 하는 6개 병의원에 공문을 보내 운영비 지원 사항을 알리고 분만실 운영 의사가 있으면 이달 2일까지 공문을 통해 회신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관내 6개 병의원 중 회신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시 담당자가 유선을 통해 의견을 물었으나 "연간 5억원의 운영비로는 분만실 운영 시 적자 규모가 더 커 여력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안성지역 한 산부인과 병의원 관계자는 "분만실을 운영하면 분만실과 수술실 등 시설도 갖춰야 하고, 전문 의료진도 필수적으로 보유해야 한다"며 "의료진 인건비만 해도 연간 5억원은 훌쩍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복지부 '분만 산부인과 설치·운영 기준'을 보면 필요 인력은 산부인과 전문의 2명, 소아청소년과와 마취과 전문의 각 1명, 간호인력 6명, 임상병리사, 영양사 등 필수 인력을 갖추게 돼 있다.

 안성시 관계자는 "관내 6개 산부인과 병의원 중 분만실이 갖춰진 곳이 2곳 있는데 현재 운영은 하지 못하는 상태"라며 "병·의원들이 국비 등 운영비를 지원해 줘도 아직은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당분간은 원정 출산이 계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안성시는 오는 22일 관내 의료계와 분만실 운영 등 산부인과 의료 체계 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