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퇴' 인터넷 검색량 늘 때 청소년 자살 사망 증가"

여의도성모병원 최원석 교수팀, 자살 관련 검색-사망 연관성 연구
女청소년 자해 검색 늘면 자살 증가…'성적' 검색 늘면 자살 오히려 줄어

 청소년들의 '자퇴' 관련 인터넷 검색량이 늘어나면 자살 건수도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퇴를 고려하는 학생들에 대한 자살 예방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은 이 병원 최원석(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의 이런 연구 결과가 디지털 헬스케어·의료정보학 분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메디컬 인터넷 리서치' 4월호에 게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6~2020년 국내에서 자살로 사망한 13~18세 학생들의 익명화된 데이터와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추출한 26개 청소년 자살·자해 관련 단어 검색량과의 연관성을 다변량 회귀분석으로 살펴봤다.

 연구 결과 '자퇴' 관련 검색량은 남녀를 불문하고 청소년의 자살과 연관성이 있었다.

 자살 사망과 '자퇴' 관련 검색량 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시간 간격은 '0일'로 조사됐다. 검색량이 늘어난 뒤 만 1일이 지나지 않아 자살 사망이 늘어난 경향이 있었던 것이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최원석(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자해 관련 검색이 늘어나면 자살이 증가했지만, 성적 관련 검색이 증가하는 경우 오히려 자살이 줄었다.

 검색 패턴을 살펴보면 여성 청소년의 경우 자살 관련 단어를 검색할 때 자해 관련 단어를 함께 검색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다른 국가의 연구와 달리 '우울' 검색량과 자살 사이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연구팀은 국가 자살예방정책의 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추정했다.

 최원석 교수는 "자퇴를 고려하고 있는 학생들 대상 자살사고나 자살 가능성에 대한 사전 평가가 자살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학생들의 우울, 외로움, 스마트폰·인터넷 중독 같은 문제가 늘어나니 청소년 정신건강에 더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