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덥다…평년보다 기온 높을 가능성 커

6∼8월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 각각 40%
엘니뇨 발달하면 남부지방에 많은 비

 

 올여름 우리나라는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23일 발표한 '3개월 전망'에서 6∼8월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각각 40%이고 평년보다 낮을 확률이 20%라고 밝혔다. 6∼8월 평년기온은 21.1∼21.7도, 24.0∼25.2도, 24.6∼25.6도다.

 호주와 캐나다 등 각국 기상청과 관계기관은 한국의 6∼8월 기온은 56∼64% 확률로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은 지난 4월 서아시아 지역 눈 덮임이 평년보다 적어 한국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형성되면서 기온이 오를 것으로 봤다.

 남인도양과 필리핀해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따뜻하고 동인도양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차가운 점도 한국 부근에 고기압을 발달하게 하는 요소다.

 3월 기준 북극 해빙 면적이 평년보다 적었는데 이런 경우 7∼8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

 온난화도 고려해야 한다.

 최근 50년(1973∼2022년) 동안 6월 평균기온은 1.4도 상승했다.

 같은 기간 7월과 8월 평균기온은 각각 0.9도 올랐다.

 반대로 지난 3월까지 만주 지역 눈 덮임이 평년보다 적었던 점은 오호츠크해 고기압을 발달시켜 한국으로 찬 공기를 불어 넣으면서 6월 기온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강수량은 6월의 경우 평년(101.6∼174.0㎜)과 비슷할 확률이 50%다. 평년보다 많을 확률은 30%, 적을 확률은 20%다.

 7월은 평년(245.9∼308.2㎜)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다.

 8월은 평년(225.3∼346.7㎜)과 비슷할 확률이 50%, 많을 확률이 30%, 적을 확률이 20%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5∼7월 엘니뇨가 발달할 가능성이 60%인데, 이때 한국에서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오는 경향이 있다.

 엘니뇨는 감시구역 해수면 온도가 3개월 이동평균으로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은 상황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조경숙 기상청 기후예측과장은 "과거 사례를 통해 (엘니뇨의 영향을) 볼 때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강수가 많은 경향이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강한 엘니뇨' 가능성에 대해서는 "엘니뇨 감시구역 해수면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진 않았다"라며 "강한 엘니뇨가 될지 현재로서는 말하기 어렵다"라고 답했다.

 강한 엘니뇨는 감시구역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1.5도 이상 높고 엘니뇨가 1년 이상 지속할 때를 말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