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권 고속도로 휴게소 18곳에서 '강원나물밥' 판매

26일부터 이용객 입맛·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기대

 강원과 경기 용인·여주지역 고속도로 휴게소 18곳에서 강원나물밥을 먹을 수 있게 됐다.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는 21일 강원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경제진흥원,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홈스랑과 강원나물밥 개발 및 판매를 위한 상생 협약을 했다.

 이에 오는 26일부터 강원본부 관내 18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지역 생산 나물로 만든 강원나물밥을 판매하기로 했다.

 강원나물밥은 곤드레·참취·곰취·어수리 등 네 가지 나물과 오대쌀로 만든 메뉴로 건강에 관심이 많은 고객의 입맛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농가와 기업의 소득 증대로 이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강원본부 관계자는 "지역적 특색과 맛을 살린 건강한 음식을 통해 강원특별자치도의 매력을 알리고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