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권 고속도로 휴게소 18곳에서 '강원나물밥' 판매

26일부터 이용객 입맛·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기대

 강원과 경기 용인·여주지역 고속도로 휴게소 18곳에서 강원나물밥을 먹을 수 있게 됐다.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는 21일 강원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경제진흥원,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홈스랑과 강원나물밥 개발 및 판매를 위한 상생 협약을 했다.

 이에 오는 26일부터 강원본부 관내 18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지역 생산 나물로 만든 강원나물밥을 판매하기로 했다.

 강원나물밥은 곤드레·참취·곰취·어수리 등 네 가지 나물과 오대쌀로 만든 메뉴로 건강에 관심이 많은 고객의 입맛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농가와 기업의 소득 증대로 이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강원본부 관계자는 "지역적 특색과 맛을 살린 건강한 음식을 통해 강원특별자치도의 매력을 알리고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