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연구결과 모식도</strong><br>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30727/art_16884521354658_eb956e.jpg)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이 만성 염증 질환인 원형탈모증의 발병구조를 파악하고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원형탈모 환자의 피부 조직·혈액과 원형탈모를 유도한 쥐의 피부·림프절을 분석했다.
이어 '가상기억 T 세포'에서 유래한 새로운 면역세포군이 원형탈모증 발병 핵심 원인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가상기억 T 세포는 다른 T세포와 달리 자극을 받지 않고도 기억면역세포와 비슷한 특징을 갖는 세포를 뜻한다.
바이러스·박테리아·기생충 감염을 제어하고 암세포를 없애는데 작용한다고 알려졌지만, 염증과 관련한 여러 단백질인 사이토카인 반응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 사이토카인과 수용체(NKG2D) 기능을 억제해 원형탈모증 발생을 막을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는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석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박수형 교수는 "가상기억 T 세포가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자극 때문에 활성화된 후 오히려 염증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최초로 보여준 연구 결과"라며 "다양한 만성 염증 질환 발생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