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약재 '나한과' 추출물, 만성폐질환 완화에 효능

한의학연구원, 동물모델·기관지 상피세포 실험서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과학연구부 성윤영 박사 연구팀은 전통 약재인 '나한과' 추출물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완화 효능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나한과 추출물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COPD 유도 동물모델과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연구 결과 동물모델에서 대조군보다 염증을 81.6%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가래를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기관지 상피세포에서도 평균 76.7% 더 염증 반응을 진정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단맛으로 알려진 나한과는 예부터 여러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데 널리 사용됐다.

기술을 이전받은 한 업체는 호흡기 건강 기능성 식품 사업화를 목표로 안전성·유효성을 위한 임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

COPD 쥐 모델 질환지표 개선 결과 그래프

 성윤영 박사는 "나한과의 기관지 치료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알리게 됐다"고 말했다.

 COPD는 가벼운 호흡곤란과 기침·가래 등으로 시작해 말기에는 심장 기능까지 떨어뜨리는 사회적 문제 질환이다.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은 흡연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