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위험 예측 새로운 뇌 단백질 발견"

  알츠하이머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 인지 장애(MCI)가 나타나기 7년 전에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신경세포 단백질이 발견됐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안자 솔단 교수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인 뉴로펜트락신2(NPTX2)가 부족하면 나중 MCI가 나타난다는 예고 신호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NPTX2는 신경세포(neuron)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신경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세포의 신호 전달 통로인 시냅스(synapse)의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단백질이 모자라면 뇌 기능이 나빠질 수 있다.

 연구팀은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바이오카드 연구'(BIOCARD Study) 대상자 269명(평균연령 57.7세)의 평균 16.3년간 자료를 분석했다. 이들은 연구 시작 때 모두 정신 건강이 정상인 사람들이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 속의 NPTX2 수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하면서 MCI/치매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뇌척수액이란 뇌와 척수를 둘러싼 연질막과 지주막 사이에 있는 공간과 뇌실을 채우고 있는 액체로 뇌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이들의 뇌척수액에서 치매의 전통적인 생물표지인 뇌 신경세포의 비정상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응집과 타우 엉킴 수치도 측정했다.

 그 결과 NPTX2 수치가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보다 일찍 인지기능이 떨어지면서 MCI가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NPTX2의 이 같은 연관성은 연구 참가 때부터 7년 전후에 MCI가 발생한 사람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 처음 측정했을 때의 NPTX2 수치가 MCI가 나타나는 시기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베타 아밀로이드 응집 또는 타우 엉킴의 수치와도 무관했다.

 NPTX2 단백질은 생쥐 실험에서 학습, 기억 기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선행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 새로운 연구 결과는 이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다만 이는 치매 가족력이 있고 교육 수준이 높은 백인을 주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여서 다른 사람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에 대해 프로비던스 세인트 존스 헬스 센터(Providence Saint John's Health Center)의 신경과 전문의 산토시 케사리 박사는 인지기능 저하 문제를 가장 빠르게, 심지어 인지기능이 정상일 때 포착해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혈액 또는 뇌척수액에 나타나는 생물표지를 찾아내는 것이 절대 중요하다고 논평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 학회 학술지 '신경학 회보'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여야 각각 발의한 간호법 국회 복지위 상정…"국민건강 위해 반드시 제정돼야"
여야가 각각 발의한 간호법안이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상정됐다. 보건의료단체는 간호법이 초고령사회 등 사회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의 하나로, 반드시 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16일 의료계와 시민사회에 따르면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대표로 발의한 '간호사 등에 관한 법률'과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간호법'이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상정됐다. 이들 법안은 의료법에서 간호 관련 내용을 따로 떼 간호사의 업무를 명확히 하고, 간호사 근무 환경과 처우를 개선하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 특히 여당 발의 법률에는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간호사의 진료지원(PA) 업무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보건의료단체는 간호법 상정을 환영하고 나섰다.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이날 국회 토론회에서 "간호법의 제정은 초고령사회, 지역소멸, 기후재난에 대응해 의료와 돌봄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가장 적극적인 사회 위기 해법의 하나"라며 "필수·지역의료를 강화하고, 국민 건강권을 향상하며 무엇보다 지역 돌봄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간호법이 반드시 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간호협회도 "간호법안 제정안을 통해 간호에 대한 법 보호 체계를 구체화하고 간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