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건보 무임승차?…작년도 7천403억 흑자, 중국은 적자지속

매년 흑자…2019∼2023년 5년간 누적 흑자 2조7천825억원

 전체 외국인(재외국민 포함) 건강보험 가입자 재정수지가 예년과 마찬가지로 작년에도 흑자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건강보험에 가입한 전체 외국인이 지난해에도 건강보험료를 부담한 것보다 적게 보험 혜택을 받았다는 뜻으로, 외국인이 국내 건보에 무임승차 하는 게 아니냐는 일각의 부정적 시각은 오해일 뿐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다만, 외국인 국적별로 보면 중국은 계속 적자를 보였다.

 외국인은 한국계 외국인을 포함해 외국 국적을 가진 사람을, 재외국민은 외국에 살면서도 우리나라 국적을 유지하는 한국인을 말한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외국인(재외국민 포함) 연도별·국적별 보험료 부과 대비 급여비 현황(2019~2023년)'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전체 외국인이 낸 보험료는 2조690억원(직장가입자 1조5천15억원, 지역가입자 5천675억원)이었다.

 하지만 이들 외국인이 이렇게 부담한 보험료로 병의원이나 약국 등 요양기관을 이용하고 건강보험에서 보험급여로 받은 전체 금액은 1조3천287억원에 그쳤다.

 건보공단은 이처럼 전체 외국인이 건보료로 낸 금액보다 보험 혜택을 적게 받음으로써 7천403억원의 재정수지 흑자를 봤다.

[ 외국인(재외국민 포함) 보험료 부과 대비 급여비 현황(2019~2023년)]

(단위: 억 원)

 

연도 구분 보험료 부과(A) 급여비(B) A-B
직장 지역
2023년 소계 20,690 15,015 5,675 13,287 7,403
외국인 20,043 14,505 5,538 12,735 7,308
재외국민 647 510 137 552 95
2022년 소계 17,892 12,846 5,046 12,332 5,560
외국인 17,286 12,373 4,913 11,838 5,448
재외국민 606 473 133 494 112
2021년 소계 16,347 11,565 4,782 11,096 5,251
외국인 15,793 11,145 4,648 10,668 5,125
재외국민 554 420 134 428 126
2020년 소계 15,417 10,808 4,609 9,542 5,875
외국인 14,915 10,424 4,491 9,186 5,729
재외국민 502 384 118 356 146
2019년 소계 12,965 10,260 2,705 9,229 3,736
외국인 12,530 9,907 2,623 8,872 3,658
재외국민 435 353 82 357 78

 

 전체 외국인 건보 재정수지는 2019년 3천736억원, 2020년 5천875억원, 2021년 5천251억원, 2022년 5천560억원, 2023년 7천403억원 등 해마다 흑자를 보여 최근 5년간 총 2조7천825억원의 누적 흑자를 달성했다.

 그렇지만 2023년도 기준 외국인 가입자 수 상위 10개 국가별로 살펴보면, 지난해에도 중국인은 유일하게 낸 보험료보다 급여 혜택을 많이 받아 640억원의 적자를 보였다.

 그간 중국인 건보재정은 2019년 987억원, 2020년 239억원, 2021년 109억원, 2022년 229억원, 2023년 640억원 등의 적자를 해마다 기록했다.

 [외국인 국적별 보험료 부과 대비 급여비 현황(2019~2023년)]

(단위: 억 원)

 

연도 구분 중국 베트남 우즈벸 네팔 미국 캄보디아 인도
네시아
필리핀 러시아 미얀마
2023년 보험료
부과(A)
8,103 1,324 698 831 1,270 617 606 514 357 516
급여비(B) 8,743 610 388 116 614 116 68 150 256 70
A-B -640 714 310 715 656 501 538 364 101 446
2022년 보험료
부과(A)
8,083 1,109 610 664 1,305 547 468 452 321 428
급여비(B) 8,312 561 333 88 547 114 47 136 211 57
A-B -229 548 277 575 758 434 421 315 109 371
2021년 보험료
부과(A)
7,212 1,061 556 631 1,192 529 447 443 293 407
급여비(B) 7,321 614 293 94 510 100 57 127 190 54
A-B -109 447 262 537 683 429 389 316 103 353
2020년 보험료
부과(A)
6,238 831 488 574 974 493 438 423 254 404
급여비(B) 6,477 513 217 76 434 85 37 118 158 35
A-B -239 318 271 498 540 408 401 305 96 369
2019년 보험료
부과(A)
5,340 759 435 568 990 471 445 437 186 373
급여비(B) 6,327 496 183 80 417 82 36 112 125 37
A-B -987 263 252 488 573 389 409 325 61 336

 

 이에 대해 건보공단은 "2019년 7월 외국인 지역가입자 당연 가입 시행 뒤 중국 국적 가입자의 재정수지 적자는 계속 줄었지만 2022년 이후 다시 상승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이후 중국인 지역가입자가 늘면서 건보 급여비도 증가했기 때문인 것 같다"고 추정했다.

 건보 당국은 그간 외국인 대상 건보 제도를 계속해서 손질했다.

 건보공단은 2019년 7월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6개월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은 직장가입자나 피부양자가 아니면 의무적으로 지역가입자로 건강보험에 가입해 보험료를 전액 부담하도록 하는 등 외국인 가입과 보험료 부과 기준을 강화했다.

 피부양자는 직장에 다니는 자녀나 가족에 주로 생계를 의존하는 사람이다.

 이후 외국인 지역가입자한테서 거둔 보험료는 2019년 2천705억원, 2020년 4천609억원, 2021년 4천782억원, 2022년 5천46억원, 2023년 5천675억원 등으로 매년 늘었다.

 나아가 올해 4월 3일부터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과 재외국민은 국내 거주기간이 6개월 이상 지나야만 피부양자가 될 수 있게 강화했다. 진료목적 외국인 입국을 막기 위해서다.

 그간 일부 외국인이 입국 직후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해 치료·수술 등 보험 혜택만 받고 출국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았다.

 다만 배우자이거나 19세 미만 미성년 자녀일 경우와 유학(D-2)·일반연수 초중고생(D-4-3)·비전문 취업(E-9)·영주(F-5)·결혼이민(F-6) 등 거주 사유가 있으면 국내 입국 즉시 피부양자가 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대선기획본부 출범…"의정갈등 4월 중 해결" 대응 본격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3일 대선기획본부를 출범하는 등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본격화한 조기 대선 국면 대응에 나섰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대선 과정에서 의정 갈등을 완화하는 한편 의료계에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기 위해 영향력 행사를 공식적으로 예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협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민복기 대구광역시의사회 회장이 본부장을 맡았다. 민 본부장은 "의정 갈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4월 중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특히 "의대생, 전공의와 정부가 빠른 시간 내에 접점을 찾아 내년도 의대 정원(모집인원) 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내후년 의대 정원에 대해서는 "우리(의료계)가 교육 가능한 숫자의 범위를 정해놓고 국회에서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의협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정부와 정치권에 논의의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면서 대화를 공식 요청한 바 있다. 의협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정부가 약속한 의정 갈등 전인 3천58명으로 조기 확정하고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중단을 강하게 요구했다. 특히 의정 갈등 상황을 새 정부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