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무릎통증[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30936/art_16940491700976_88fa41.jpg)
무릎에 염증이 발생해 연골이나 관절막 등에 통증이나 기능장애가 생기는 무릎관절증으로 작년 한 해 3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진료받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7일 발표한 '2018∼2022년 무릎관절증 환자 진료인원'에 따르면 작년 무릎관절증 환자는 306만5천603명으로, 2018년 287만4천179명에 비해 6.7%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1.6%다.
작년 여성 환자는 209만8천638명으로 남성(96만6천965명)보다 배 이상 많지만, 2018년 대비 증가율은 남성(12.4%)이 여성(4.2%)보다 컸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3.0%)이 여성(1.0%)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60대가 작년 전체 진료인원의 35.3%(108만2천826명)로 가장 많았다. 70대 26.8%(82만114명), 50대 16.9%(51만8천801명)로 뒤를 이었다.
무릎관절증 환자의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는 2018년 1조5천127억원에서 2022년 1조8천898억원으로 4년 새 24.9%(3천771억원) 늘었다. 작년 기준 1인당 진료비는 61만6천원이었다.
박 교수는 "체중을 줄이고 무릎에 부하가 덜 가는 운동을 지속해 주변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무릎관절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며 "쪼그려 앉거나 경사지를 오르내리는 것보다는 평지를 걷고 수영이나 물에서 걷기, 실내 자전거 등을 이용한 근력 운동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또 "무릎관절증 초기에는 약물치료, 찜질, 스트레칭 등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병원에 방문해 빠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