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치매 환자…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전 세계 치매 환자 수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획기적인 치료제 개발에 국내외 제약사들이 열을 올리고 있다.

 11일 알츠하이머 국제기구(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 환자 수는 2030년 약 7천800만 명, 2050년에는 약 1억3천9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치매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치매 중 가장 많은 유형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경우 뇌 속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뇌세포 주변에 쌓여 뇌의 주요 기능을 상실하게 만든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건강한 사람의 뇌에서도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약간 만들어지지만, 이는 척수액 등에 의해 빠르게 분해된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는 이 단백질이 과다하게 생성되고 쉽게 분해되지도 않아 문제를 일으킨다.

 이 밖에 항산화 비타민 부족, 혈중 콜레스테롤, 전신성 염증 등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치매 치료제는 일본 기업 에자이와 미국 기업 바이오젠이 공동 개발한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다.

 베타 아밀로이드를 제거해 병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이 제품은 지난 7월 미국에서 승인된 데 이어 최근에는 일본에서도 승인받았다.

 다만 아직 치매 초기 환자와 경도인지장애 환자에만 사용할 수 있고 뇌출혈 등 부작용 위험이 있는 한계가 있다.

 임상 마지막 단계인 후보물질로는 일라이 릴리 제약의 도나네맙, 바이오비 제약의 NE3107, AB 사이언스의 마시티닙 등이 있다.

 국내에선 아리바이오가 경구용 치매 치료제 'AR1001'을 개발하고 있다. 신경세포의 생성을 촉진하고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 독성 단백질을 제거하는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졌다.

 엔케이맥스의 미국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은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SNK01'을 알츠하이머병에 쓸 수 있을지 연구 중이다.

 회사에 따르면 SNK01은 베타 아밀로이드 등 비정상 단백질을 직접 제거하는 치료제와 달리, 비정상 단백질을 청소하는 세포를 정상화해 질환의 악화를 막는 방식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부산대, 차세대 표적 항암제 후보물질 개발…종양 40% 감소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암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해 암 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부산대학교는 분자생물학과 장세복 교수와 생명시스템연구소 김현진 전임연구원이 암세포 생존을 촉진하는 단백질 복합체 결합 구조를 극저온 전자현미경 기법으로 원자 수준에서 해석하고 이 구조를 기반으로 암세포 증식·이동 억제 기능을 갖춘 물질을 설계해 차세대 항암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폐암, 대장암, 췌장암 세포에서 펩타이드 투여 시 암세포의 ATP(아데노신 삼인산) 생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세포 이동성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했다. 정상 세포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동물실험에서도 종양 부피와 무게를 40% 이상 감소시켰으며,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상 세포에서도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 장세복 교수는 "기존 RAGE 억제제는 낮은 특이성과 독성으로 인해 임상적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펩타이드 기반 치료법은 특정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통해 암세포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활동을 선택적으

메디칼산업

더보기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2곳뿐…역대 최저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이 2곳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곳은 숭인의료재단 김해복음병원과 동강의료재단 동강병원 2곳에 그쳤다.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건수는 전년 9건에 비해 22.2%에 불과한 수준이다. 의료기기법상 임상시험을 위한 시설, 인력, 기구를 갖춘 의료기관을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식약처는 2007년 임상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제도를 도입했다. 2007년 3월 2일 서울대 치과병원이 제1호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한 해 동안 연세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고려대 의과대학부속 구로병원 등 모두 38개 기관이 지정됐다. 2008년 17곳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2013년까지 매년 10곳 이상 지정됐다가 2014년부터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2020년 10곳이 지정되며 반짝 두 자릿수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후로는 한 자릿수를 유지했고 작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은성의료재단 좋은강안병원이 지난 7일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