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 119 신고. 골든타임 놓친다"…"다리 아프니 집까지"

 "너무 추워 쓰러질 것 같아요."

 지난 4월 어느 날 오전 2시께 이러한 내용의 신고가 119상황실에 접수됐다.

 출동한 119구급대원이 현장을 확인한 결과 신고자 A씨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걸어가던 중 추위를 느껴 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A씨는 구급대원에게 병원에 갈 정도는 아니라며 출동한 구급대에 시내까지만 태워달라고 요청했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는 이처럼 응급하지 않은 119 신고가 자주 접수되고 있다며 '진짜' 응급환자를 위해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제주소방에 따르면 제주지역 119구급대 출동 건수는 2021년 5만6천724건, 2022년 6만3천585건 등이다.

 이 중 이송 불필요, 신고 취소, 환자 없음 등 이유로 구급대가 출동했지만, 병원으로 이송하지 않은 건수는 2021년 1만9천953건, 2022년 2만1천933건 등 전체 출동 건수의 약 35%를 차지한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술을 마시고 병원 이송을 요구하거나 외래진료를 가기 위해 119구급대를 부르는 이른바 '비응급환자' 이송 건수도 전체 이송 건수 중 1.2%나 됐다.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에 따르면 비응급환자의 경우 구급 출동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신고 접수 때 응급과 비응급 상황을 판단할 수 없어 일단 119구급대가 출동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비응급 신고에 일일이 대응하다 보니 실제 응급환자가 발생해 신고를 받을 경우 자칫 출동이 늦어질 수 있다.

 김수환 본부장은 "비응급 신고 한 건 때문에 정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며 "119구급대가 응급한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하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해 귀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