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시냅스 새 특성 발견…뇌질환 치료에 기여"

UNIST,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전달…"도파민 시냅스 생존에 중요 역할"

 우리 뇌의 주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도파민 시냅스의 새로운 특성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발견했다.

 2일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김재익 교수팀은 도파민 시냅스가 도파민뿐 아니라 신경세포가 과하게 흥분하는 것을 막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를 전달할 수 있으며, 억제성 시냅스와 유사한 특성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특성은 도파민 시냅스의 유지와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파민은 도파민 시냅스를 통해 뇌의 다양한 신경세포에 전달되며, 각종 행동 조절과 인지 기능 등에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뇌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은 시냅스 영역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에 연구팀은 파킨슨병과 같은 뇌질환은 도파민 시냅스 구조 및 기능 변화와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 결과 도파민 시냅스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를 함께 전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시냅스 앞뒤에 붙어있는 시냅스 분자를 분석했을 때 도파민 시냅스가 억제성 시냅스의 속성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특히 억제성 시냅스를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인 NL2를 인위적으로 제거했을 때, 도파민 시냅스 수가 감소하는 것도 확인됐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파킨슨병이 실험적으로 유도된 동물 연구를 통해 도파민 시냅스에서 전달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가 파킨슨병 초기 단계에서 빠르게 감소하는 사실을 알아냈다.

 도파민 시냅스에서 GABA의 전달이 감소하면 도파민 시냅스의 사멸이 촉진되는데, 줄어든 GABA를 보충해 주면 파킨슨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김재익 교수는 "억제성 시냅스의 속성이 도파민 시냅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앞으로 도파민 시냅스의 새로운 속성에 관한 추가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등 관련 뇌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10월 31일 자로 공개됐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중견연구, 뇌기능규명조절기술개발사업, 포스코청암재단 포스코청암 사이언스 펠로십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살빼는 약' 열풍에 미국 내 요거트 매출 증가
미국에서 위고비, 오젬픽 등이 비만치료제로 인기를 끌면서 미국 내 요거트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식품업체 다논은 최근 미국에서 고단백 저칼로리 요거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위고비, 젭바운드 등 비만치료제 열풍에 일부 기인한다고 밝혔다. 다논의 유르겐 에세르 재무담당 부사장은 "자사는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요거트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데 최근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며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치료를 받고 있거나 혹은 체중이나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소비자 모두에게 인기가 있다"라고 말했다. GLP-1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식욕 억제를 돕는다. 적은 식사로도 오랜 포만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줘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다논은 비만 치료제 치료를 받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특별한 마케팅을 하지 않았는데도 이런 매출 변화가 있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국적 식품기업 네슬레도 비만치료제 치료 소비자를 겨냥한 맞춤형 제품을 개발해 내놓고 있다. 네슬레

메디칼산업

더보기
퇴장하는 해열제 좌약…시럽제 인기에 채산성 떨어져
"해열제 잘 듣네…'좌약'이에요. 기절한 사람한테 약을 먹일 수가 있어야지." 박찬욱 감독의 2003년 영화 '올드보이'에서 낙지를 먹다 고열로 갑자기 기절했다 깨어난 오대수(최민식 분)가 '한미약품'이 선명하게 인쇄된 약 포장지를 들고 당황스러워하자, 그를 자기 집으로 데려온 미도(강혜정 분)가 대수롭지 않다는 듯 설명한다. 오대수가 들고 있던 약은 한미약품의 좌제(좌약) 해열제인 써스펜좌약이다. 좌제는 먹는 약인 경구형, 혈관 등에 투여하는 주사제와 달리 직장 등에 투여하는 형태의 약을 말한다. 가현문화재단이 2022년 발행한 '한국 제약산업의 큰바위얼굴 - 임성기와 한미약품'에 따르면, 한미약품 그룹 창업주인 고(故) 임성기 회장은 1973년 회사 창립 직후부터 소프트캡슐, 발포제, 씹어먹는 츄정 등 여러 제형 개발에 적극적이었으며 특히 1976년 국내 최초로 좌제인 써스펜좌약을 개발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고열을 앓는 어린아이에게 해열제를 먹이는 일은 예나 지금이나 쉽지 않은 일이다. 약을 먹자마자 토해버리는 일도 잦아 낭패를 겪기 일쑤다. 국내에 좌제가 전혀 없던 시절, 임성기는 해열제 좌제 개발에 도전했다. 처음엔 수동식 기계로 소량을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