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위험도, 간 수치 아닌 혈중 바이러스 수치가 영향"

서울아산병원 연구팀, 간암 예방률 높일 새 치료 기준 발표
"바이러스 수치 따라 간염 치료하도록 건보 급여 기준 바꿔야"

 간암 발생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간 수치가 아니라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으로 B형 간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임영석·최원묵 소아기내과 교수팀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소아기분야 권위지 '거트'(GUT, 피인용지수 24.5)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성인 만성 B형 간염 환자 9천709명을 대상으로 수년간 간암 발생 위험을 추적 관찰했다.

 B형 간염은 국내 간암 원인의 70%를 차지한다.

 그 결과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당 1백만 단위(6log10 IU/㎖)인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은 치료군과 비치료군에서 모두 가장 높았다.

 반면 바이러스 수치가 1백만 단위보다 매우 적거나(1만 단위 미만) 많을수록(1억 단위 이상, ≥ 8log10 IU/㎖) 간암 발생 위험은 감소했다.

 바이러스 수치가 1억 단위 이상에서 간염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은 1백만 단위에서 치료하지 않은 환자보다 최대 6.1배 높았다.

만성 B형간염에서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관계

 따라서 간암 예방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수치가 매우 높거나 낮을 때 간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 B형 간염 건강보험 급여 기준은 바이러스 수치가 2천 단위 이상이면서 간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이어야 해서 바이러스 수치가 높아도 간 수치가 정상이면 급여를 받을 수 없다.

 임영석 교수는 "혈중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2000IU/㎖ 이상인 성인 환자는 간 수치와 관계없이 간염 치료를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급여기준을 개정해야 한다"며 "이 경우 1년에 약 3천명의 간암 환자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19 축적 기술력 이용 mRNA 백신 개발"…플랫폼 개발 속도 내는 제약사들
국내 백신 개발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이용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질병관리청이 최근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해 100∼200일 이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국산화를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더 탄력받는 분위기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우선 차백신연구소[261780]는 지난달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mRNA 백신 및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전남 화순의 백신 공장에 mRNA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은 임상시험용 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시범(파일럿) 규모로 지어졌다. 현재로서는 임상 1∼2상을 진행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