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 환자 110만명…잠못들어 병원진료 5년새 28.5% 늘어

 지난해 제대로 잠들지 못해 병원을 찾은 수면장애 환자가 11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30% 가까이 급증했는데, 환자 4명 중 1명은 60대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분석해 이러한 내용의 수면장애 환자 진료 현황을 17일 발표했다.

 수면장애는 불면증, 수면 관련 호흡장애, 과다수면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수면 관련 운동장애 등 수면과 관련된 여러 질환을 통칭한다.

 진료 인원은 2018년 85만5천25명에서 지난해 109만8천819명으로 28.5%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7.8%다.

 60대에서 수면장애가 많이 나타나는 이유로는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 은퇴 등으로 일상이 크게 변화하는 데 따른 스트레스 등이 꼽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나이가 60대에 가까워지면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길어지고 수면 중에 깨는 횟수가 늘어나면서 전체 수면시간도 줄어든다"며 "60대가 수면의 생리적 변화를 가장 크게 느끼는 나이대일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더욱이 60대는 하던 일에서 은퇴하고 여러 신체질환이 생기는 등 일상의 변화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시기"라며 "생리적 변화와 스트레스가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당 수면장애 환자 진료 인원은 2018년 1천674명에서 지난해 2천137명으로 27.7% 증가했다. 10만명당 진료 인원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이 6천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수면장애 환자의 진료비도 증가했다.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는 2018년 1천526억원에서 지난해 2천851억원으로 86.8% 늘었고, 연평균 증가율은 16.9%였다.

 1인당 진료비는 2018년 17만8천원에서 지난해 25만9천원으로 45.4% 뛰었다.

 수면장애 증상은 잠들기 힘들거나 수면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 낮에 지나치게 졸리거나 피곤한 경우, 수면 중 잠꼬대를 하거나 몽유병이 나타나는 것처럼 이상행동이 나타나는 경우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수면장애를 예방하려면 낮잠을 자지 않고 규칙적인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습관을 갖는 게 좋다.

 침실은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잠들기 전에 TV를 시청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건 좋지 않다. 술과 담배, 카페인은 모두 수면에 방해되므로 수면장애가 있다면 피해야 한다.

[표] 2018∼2022년 '수면장애' 환자 성별 진료인원(단위: 명,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8년 대비
증감률
연평균
증감률
855,025 941,106 978,033 1,037,603 1,098,819 28.5 6.5
남성 355,522 405,826 423,660 445,063 475,003 33.6 7.5
여성 499,503 535,280 554,373 592,540 623,816 24.9 5.7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서울대병원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 아시아 최초 성공"
서울대병원은 수술 부위의 한 곳만 절개하는 '단일공'(single) 로봇을 이용해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생체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병원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교수팀은 지난 2월 단일공 로봇으로 기증자 신장 적출 수술에 성공한 데 이어 3월에는 수혜자에게도 단일공 로봇으로 신장을 이식했다.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이자 아시아에선 처음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이를 포함해 현재까지 총 10건의 단일공 로봇 신장이식을 시행했으며, 현재까지 모두 안정적인 신장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존 신장이식 수술은 개복 방식이나 복강경 '다공' 로봇 방식 등으로 진행돼 왔다. 개복수술은 20㎝ 이상 절개가 필요해 회복이 오래 걸리고 흉터가 크며, 복강경과 다공 로봇 수술은 절개 범위는 줄지만, 복부 여러 부위 절개가 필요하다. 단일공 로봇 수술의 경우 기증자는 배꼽 3∼4㎝, 수혜자는 하복부 6㎝의 최소 절개로 절개 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수술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게 서울대병원의 설명이다. 하종원 교수는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은 개복과 동일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통증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여름철 물놀이…콘택트렌즈 감염 주의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5일 여름철 물놀이 중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말고 렌즈 종류에 맞는 관리용품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콘택트렌즈가 수영장 물, 수돗물, 바닷물과 접촉하는 경우 세균과 곰팡이 등 감염 위험이 크다.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득이한 경우 물안경을 잘 눌러 써 외부에서 물이 새에 들어오지 않도록 착용할 것을 식약처는 권장했다. 물놀이 후에는 반드시 콘택트렌즈를 새 제품으로 교체하고, 눈이 불편하거나 충혈, 통증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제거하고 안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 콘택트렌즈는 식약처가 의약외품으로 허가한 '콘택트렌즈관리용품'으로 세척·소독하고 정해진 보관 용기에 보존액과 함께 넣어 보관해야 한다. 관리용품은 눈에 직접 쓰거나 코안을 세척하는 등 다른 목적으로 쓰면 안 된다. 렌즈 착용 후 보관 용기 안 보존액은 즉시 버리고 용기를 깨끗이 세척·건조해 보관해야 하고, 제품 오염을 막기 위해 용기 마개 부분을 만지지 말아야 한다. 렌즈 종류에 따라 렌즈에 흡착되는 이물질이 달라지는 만큼 하드·소프트 렌즈별 전용 세정액을 써야 한다. 식약처는 의료기기인 콘택트렌즈와 의약외품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