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 환자 110만명…잠못들어 병원진료 5년새 28.5% 늘어

 지난해 제대로 잠들지 못해 병원을 찾은 수면장애 환자가 11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30% 가까이 급증했는데, 환자 4명 중 1명은 60대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분석해 이러한 내용의 수면장애 환자 진료 현황을 17일 발표했다.

 수면장애는 불면증, 수면 관련 호흡장애, 과다수면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수면 관련 운동장애 등 수면과 관련된 여러 질환을 통칭한다.

 진료 인원은 2018년 85만5천25명에서 지난해 109만8천819명으로 28.5%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7.8%다.

 60대에서 수면장애가 많이 나타나는 이유로는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 은퇴 등으로 일상이 크게 변화하는 데 따른 스트레스 등이 꼽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나이가 60대에 가까워지면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길어지고 수면 중에 깨는 횟수가 늘어나면서 전체 수면시간도 줄어든다"며 "60대가 수면의 생리적 변화를 가장 크게 느끼는 나이대일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더욱이 60대는 하던 일에서 은퇴하고 여러 신체질환이 생기는 등 일상의 변화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시기"라며 "생리적 변화와 스트레스가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당 수면장애 환자 진료 인원은 2018년 1천674명에서 지난해 2천137명으로 27.7% 증가했다. 10만명당 진료 인원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이 6천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수면장애 환자의 진료비도 증가했다.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는 2018년 1천526억원에서 지난해 2천851억원으로 86.8% 늘었고, 연평균 증가율은 16.9%였다.

 1인당 진료비는 2018년 17만8천원에서 지난해 25만9천원으로 45.4% 뛰었다.

 수면장애 증상은 잠들기 힘들거나 수면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 낮에 지나치게 졸리거나 피곤한 경우, 수면 중 잠꼬대를 하거나 몽유병이 나타나는 것처럼 이상행동이 나타나는 경우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수면장애를 예방하려면 낮잠을 자지 않고 규칙적인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습관을 갖는 게 좋다.

 침실은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잠들기 전에 TV를 시청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건 좋지 않다. 술과 담배, 카페인은 모두 수면에 방해되므로 수면장애가 있다면 피해야 한다.

[표] 2018∼2022년 '수면장애' 환자 성별 진료인원(단위: 명,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8년 대비
증감률
연평균
증감률
855,025 941,106 978,033 1,037,603 1,098,819 28.5 6.5
남성 355,522 405,826 423,660 445,063 475,003 33.6 7.5
여성 499,503 535,280 554,373 592,540 623,816 24.9 5.7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올것이 왔다"…제약바이오업계, 트럼프 의약품 관세 대응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2주 내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발표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의약품 제조 촉진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의약품 가격과 관련, 다음 주에 큰 발표를 할 것"이라며 "전 세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는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의약품 규모는 39억7천만달러에 달한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이 37억4천만 달러로 94.2%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의약품 수출이 바이오의약품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미국·유럽 지역에서의 실적 호조로 12.6%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하지만 의약품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이 관세를 높일 경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큰 발표',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 등 과격한 표현을 사용함에 따라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18일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지난달 2일 발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