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자리 많아지는 연말인데…맥주·소주 물가 다시 '꿈틀'

맥주 1.0%→5.1%·소주 0.4%→4.7%…카스·참이슬 등 잇따라 가격 인상
지난달 양주 물가 상승률, 10% 육박…9개월 만에 최대

 지난달 맥주와 소주 물가 상승률이 대폭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양주 물가 상승률도 10%에 육박하며 맥주·소주와 마찬가지로 9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맥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2.45로 지난해 동월 대비 5.1% 올랐다.

 이는 올해 2월(5.9%) 이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맥주 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7.0%에서 2월 5.9%, 3월 3.6%, 4월 0.7%로 둔화했다가 10월에도 1.0%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지난달 5%대로 다시 대폭 높아졌다.

 소주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소주 물가 상승률은 4.7%로 올해 2월(8.6%)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다.

이 수치는 2월 8.6%에서 3월 1.4%로 뚝 떨어진 뒤 4∼10월에는 0%대를 유지하다가 지난달 4%대로 다시 훌쩍 높아진 것이다.

 [표] 올해 월별 맥주·소주 물가 상승률 추이 (단위: %)

 

가공식품 외식
소주 맥주 막걸리 양주 소주(외식) 맥주(외식) 막걸리(외식)
1 8.9 7.0 1.9 -5.2 10.2 10.2 4.8
2 8.6 5.9 1.6 12.5 11.2 10.5 5.1
3 1.1 3.6 1.5 5.6 10.8 9.8 5.2
4 0.4 0.7 1.7 6.2 9.2 8.6 5.1
5 0.3 -0.1 1.0 0.9 8.4 7.8 4.8
6 0.3 0.0 0.5 5.2 7.3 6.4 4.4
7 0.4 0.5 0.0 4.4 6.8 5.7 3.9
8 0.3 0.4 0.3 4.7 6.4 5.5 3.5
9 0.4 0.8 0.4 -0.6 4.4 4.4 3.6
10 0.4 1.0 0.4 5.1 4.7 4.5 3.5
11 4.7 5.1 0.4 9.6 4.7 5.0 2.9

 

(자료=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이처럼 둔화세를 보이던 맥주와 소주 물가가 다시 꿈틀거리는 것은 주류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잇달아 인상했기 때문이다.

 오비맥주는 지난 10월 11일부터 카스와 한맥 등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 가격을 평균 6.9% 인상했다.

 이어 하이트진로[000080]는 지난달 9일부터 소주 대표 브랜드인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오리지널 출고가를 6.95% 올렸고 테러와 켈리 등 맥주 제품 출고 가격도 평균 6.8% 인상했다.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 중인 상황에서 수입에 의존하는 각종 원부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국제유가 급등으로 물류비도 올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이들 업체는 설명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연초부터 소주 주원료인 주정 가격이 10.6% 오르고 신병 가격은 21.6%나 인상되는 등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제조 경비 등 전방위적으로 큰 폭의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맥주와 소주 가격이 오르자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소주 물가도 둔화세에 제동이 걸렸다.

 맥주(외식) 물가 등락률은 올해 2월 10.5% 올랐다가 이후 둔화세를 보이며 9월 4.4%까지 낮아졌다.

 이후 상승폭은 10월 4.5%, 지난달 5.0%로 커졌다.

 소주(외식) 물가 상승률도 2월 이후 9월(4.4%)까지 7개월 연속 둔화했다가 10월과 지난달에 각각 4.7%로 높아졌다.

 맥주와 소주의 출고가 인상은 통상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등 유통 채널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술자리가 많은 연말에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맥주와 소주 가격이 오르면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주류 가격에도 변동이 생긴다.

 지난달에는 양주(위스키) 물가 상승 폭도 커졌다.

 지난달 양주 물가 상승률은 9.6%로 2월(12.5%) 이후 가장 높았다. 양주 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0.6%에서 지난 10월 5.1%로 높아진 이후 지난달 10%에 육박했다.

 지난달 주요 주류 중 막걸리만 물가 상승률이 0.4%로 전월과 동일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