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호수 온도 상승하면 냉수성 어종 살 곳 사라진다"

美 연구팀 "온도 오르며 수면 주위에 갈변 현상…바닥 용존 산소 고갈"

 기후변화로 온대지역 호수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수면 주변이 용존 유기 탄소 증가로 갈색으로 변하고 깊은 바닥의 산소가 감소해 냉수성 어족이 살 수 있는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코넬대 스티븐 제인 박사팀은 과학 저널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뉴욕주 애디론댁 지역 28개 호수의 표면 온도, 용존 유기 탄소, 심해 산소 등을 장기간 분석한 결과, 온난화가 호수 심해 어종에 미치는 이 같은 영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온난화와 산소 고갈로 인한 이런 산소-열 병목(oxythermal bottleneck)은 북미와 유라시아의 모든 호수를 위협할 수 있고 호수 어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며 대책 마련을 위해 호수에 대한 산소-열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온대지역 호수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수온 상승과 용존 유기물 증가에 따른 물의 투명도가 감소하는 갈변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갈변 현상은 열을 수면 주위에 가두어 온난화 영향을 완화할 가능성이 제기돼 왔으나 호수 전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 2021년 15개 호수의 온도·산소 정밀 데이터를 분석, 갈변 현상이 냉수성 어종인 민물송어에게 적합한 서식지(<20℃, >5㎎O/L)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했다.

 그 결과 20여년 간 수면의 온도는 온대 호수의 평균 추세보다 2배나 빠르게 상승했으며, 호수 바닥의 용존 산소는 180% 이상 빠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면 주위에서 일어나는 갈변 현상에 따른 온난화 완화 효과보다는 용존 유기 탄소(DOC) 증가로 인해 수심 깊은 곳의 산소가 고갈돼 냉수성 어종이 살 수 있는 서식지가 줄어드는 현상이 훨씬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애디론댁 지역 1천467개 호수의 역사적 기록에 적용, 1980년대 이후 대부분 호수에서 송어가 살기에 적합한 서식지가 크게 감소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5개 호수 중 7개 호수에서는 송어에게 적합한 서식지가 계절적으로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났고, 5개 호수에서는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온난화와 갈변 현상이 송어 같은 냉수성 어종을 잡는 온대 지역의 호수 어업에 타격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호수 온난화와 산소 고갈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PNAS, Stephen F. Jane et al., 'Concurrent warming and browning eliminate cold-water fish habitat in many temperate lakes', https://www.pnas.org/cgi/doi/10.1073/pnas.230690612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분야 더 많이 받도록 건강보험 지불제도 개선"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보상을 늘리기 위해 건강보험 지불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의료행위를 많이 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는 기존의 '행위별 수가제'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필수의료 분야의 '상대가치 점수'를 인상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과 성과에 따라 의료기관별로 차등 보상하는 대안적 지불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이중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3일 기자들과 만나 "행위별 수가제도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원가 보상률이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며 "상대가치 수가 집중 인상과 보완형 공공정책 수가, 대안적 지불제도 도입 확대 등을 통해 보상 체계를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가'는 건강보험에서 의료기관 등에 의료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이다. 우리나라 수가제도는 진찰, 검사, 처치 등 의료행위별로 수가를 매겨 대가를 지급하는 '행위별 수가제'를 근간으로 한다. 행위별 수가는 의료행위의 가치를 업무량과 인력, 위험도 등을 고려해 매기는 '상대가치점수'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병원, 의원, 약국 등 기관별로 매년 협상을 통해 결정하는 '환산지수'를 곱하 고, 각종 가산율을 반영해 책정된다. 이 제도는 의료행위를 많이 할수록 수익이 늘어나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모유 통해 흡수한 초미세플라스틱이 비만 초래할 수 있다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관찰·검출이 거의 불가능한 초미세플라스틱이 자녀의 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이다용 박사 연구팀은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이돼 자손의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일으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쥐 모델을 통해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체의 모유 성분에 변화를 유발하고, 이를 섭취한 자손은 지질 대사체 이상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변화가 일어나 비정상적 과체중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폴리스타이렌(PS)과 폴리프로필렌(PP) 초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모체의 자손이 성장호르몬 분비량이나 섭취량 증가가 없음에도 몸무게와 체지방이 두드러지게 증가함을 관찰했다. 모체의 모유를 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관련이 높은 지질 성분인 LPC(리소포스파티딜콜린)는 증가하고 PC(포스파티딜콜린)는 감소해 있었고, 모유를 섭취한 자손의 혈액에서도 이와 유사한 변화를 확인했다. 관련 효소 활성 조절을 통해 초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지질 성분 변화를 억제하자 자손의 몸무게 증가가 정상적으로 회복됐다. 초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자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