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술 경험 청소년, 마약 사용 가능성도 높다

부경대 허원빈·오영삼 교수팀 연구 결과

 담배와 술을 경험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마약 사용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부경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허원빈, 오영삼 교수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청소년의 음주, 흡연, 마약 사용 간 관계'라는 논문을 8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관문 이론을 기반으로 청소년의 담배, 음주, 마약류 사용 간 관계를 밝혀냈다.

 관문 이론은 안전하거나 법으로 허용하는 약물 사용이 더 중독성이 강한 약물 사용을 초래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주로 이용한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속담과 비슷한 맥락이다.

 평생 전자담배 흡연 경험은 2배, 평생 흡연 경험은 1.54배, 음주 경험은 1.29배 높았다.

 평생 한 번이라도 전자담배를 흡연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경험이 전혀 없는 청소년보다 마약류 물질을 사용할 가능성이 2.4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궐련 담배를 피우는 시기가 빠를수록 마약류 물질을 이용할 가능성은 1년마다 1.53배 증가했고, 음주 기간도 1년 빠를수록 마약류 물질 이용 가능성이 1.58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이 전국 800개교 중·고등학생 5만4천8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제17차(2021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흡연과 음주 같은 부드러운 약물 사용이 마약류 같은 강한 약물 사용으로 이어진다는 관문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오영삼 교수는 "청소년 마약류 사용 문제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면 처벌보다는 예방과 대응체계 구축이 더 중요하다"라며 "청소년 마약류 사용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과 실효성 있는 전략 구축이 선행돼야 하고, 정부를 비롯해 학교, 경찰, 사회복지기관 등 개인과 지역사회 모두의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