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의학상에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소장·김원영 울산대 교수

젊은의학자 부문에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오탁규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아산사회복지재단은 제17회 아산의학상 수상자로 기초의학 부문에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연구소장, 임상의학 부문에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장인 김원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교수를 각각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젊은의학자 부문에는 정인경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오탁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각각 선정됐다.

 기초의학 부문 수상자인 이 소장은 뇌세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Astrocyte)'에 대한 연구로 퇴행성 뇌질환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꾼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동안 별세포는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역할로만 알려졌지만, 이 소장의 연구를 통해 뇌의 중요한 신호 전달물질인 흥분성 글루타메이트와 억제성 가바(GABA)가 별세포에서 생성되고 분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임상의학 부문 수상자인 김 교수는 20여년간 응급의학과 전문의로서 심정지, 패혈증, 허혈성 뇌손상, 급성호흡부전 등 중증 응급환자 치료와 연구에 전념해 온 성과가 높이 평가됐다.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의 심폐소생술 생존율을 국내 평균 5%의 6배인 30%로 끌어올린 공로도 인정받았다.

 젊은의학자 부문을 수상한 정 교수는 유전자 분석에서 3차원 해독을 도입해 파킨슨병, 암 등의 새로운 원인을 규명한 성과를, 오 교수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마약성 진통제 사용 실태를 파악하는 등 정책적 제언이 가능한 연구를 해온 점을 인정받았다.

 아산의학상은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의과학자를 격려하기 위해 아산사회복지재단이 2008년 제정한 상이다.

 상금은 기초의학·임상의학 부문 수상자가 각각 3억원이며,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자는 각각 5천만원이다.

 시상식은 오는 3월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